민간 미분양펀드 조성 '난망'

머니투데이 원정호 기자 2008.10.22 14:51
글자크기

주택보증하면 펀드 투자 대상 넓어져...금융경색으로 펀드모집 쉽지 않아

정부가 미분양 해소를 위해 민간 펀드 조성을 지원하고 나섰지만 펀드 활성화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22일 펀드 업계에 따르면 국토해양부는 10·21 대책에 따라 대한주택보증의 보증 대상에 미분양펀드를 포함하도록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부동산펀드도 시공사의 부도 걱정 없이 준공전 미분양아파트에 투자할 수 있게 됐다.



지금은 주택보증이 개인만 보증해주는 탓에 건설사가 부도날 경우 개인 분양자만 입주를 보장받는다. 미분양펀드가 투자한 아파트는 부도가 발생해도 주택보증이 건설사 대신 지어주지 않는다.

때문에 관련 펀드들은 신용이 우량한 건설사들의 미분양에만 투자하는 등 사업장의 부도 위험에 대해 스스로 관리해야 했다.



그러나 이번 대책으로 펀드도 주택보증의 보호를 받게 됐다. 펀드가 투자할 수 있는 대상이 크게 넓어진 것이다. 펀드 투자를 통해 미분양에 빠진 건설사의 자금난을 해소하려는 정부의 포석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보증 확대만으로 민간펀드 활성화를 바라기는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주택시장의 수요가 부족해 집값 하락세가 내년 이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미분양 펀드가 제 구실을 하지 못할 것이란 지적이다

올 2월 1550억원 규모의 미분양 펀드 판매를 시작한 다올부동산신탁은 투자자 모집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판매를 잠정 보류했다. 다른 자산운용사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펀드 조성 준비조차 못하고 있다.


정대환 다올 미분양편드 팀장은 "금융시장 경색돼 있어 금융기관이든 개인이든 지갑을 열지 않는다"면서 "투자 대상인 아파트시장이 풀릴 기미가 보여야 미분양펀드도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