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전망]마지막 카드 '금리인하'

머니투데이 유일한 기자 2008.10.07 15:04
글자크기
6일(현지시간) 다우지수의 1만선 붕괴는 시장이 미국 정부와 금융당국자들에게 던지는 중대한 경고다.

이번 금융위기를 촉발시킨 금융기관들을 살리기 위해 천문학적인 구제금융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시장은 이를 반기지 않았다. 오히려 하락 압력만 세졌다.

시장은 오히려 '위험을 알면서 고수익을 내기 위해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올인해 모기지 버블을 일으키고 이를 통해 전세계 금융시장과 경제에 충격을 던진 씨티그룹이 와코비아 인수에 나선 것 자체가 넌센스'라고 반응했다. 대공황 이후 최악의 위기를 주도한 씨티그룹이 오히려 다른 은행을 인수해 사세를 불리는 것을 허용하려는 당국자들의 도덕적 불감증을 꾸짖고 있다.



또 선진증시의 주요 자격의 하나로 자유로운 공매도를 꼽고 이를 다른 나라도 도입할 것을 요구해온 미국이 금융주 하락을 막는다는 명분을 내세워 공매도를 전격 금지시킨 이중성을 비난하고 있다. 공매도 금지기간 금융주는 속절없이 추락했다.

이는 극도의 불신으로 이어졌다. 구제법안에도 불구하고 모기지시장은 물론 주택시장이 안정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자본이 튼튼한 은행도 문을 닫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예금을 찾아가려든다. 독일 정부가 모든 개인 예금에 대해 지급보증하겠다고 선언한 것은 이러한 불신을 눈치챘기 때문이다. '뱅크런'이 확산되면 은행은 문을 닫을 수 밖에 없다. 이는 금융시스템의 붕괴에 다름 아니다.



시카고대 비지니스대학원의 재정경제학 교수 아닐 카시야프는 이날 AP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예금이 예치된 은행이 문을 닫을 수도 있다는 불안이 팽배해 있다"며 "금융 시스템 전반은 물론 대형 금융사들에 대한 신뢰가 무너졌다"고 평가했다.

불신은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위기를 주도한 인물, 기관은 그에 합당한 대가를 치러야한다. 세금을 투입해 손실을 메워준다고 위기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상당한 시간도 필요하다.

미국과 유럽 주요 정부가 막대한 구제금융에 나섰지만 시장은 안정되지 않았다. 남은 카드는 많지 않다. 그중 하나가 금리인하다. 금리를 내려 시중에 돈을 풀 수 밖에 없는 처지로 몰린 것이다. 주요 중앙은행들이 함께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왔다. 이른바 국제공조다.


호주 중앙은행은 7일 금리를 1%포인트나 인하했다. 예상치의 2배에 해당하는 인하폭이었다. 이날 개장초 3% 하락하던 호주증시는 1% 넘게 반등세로 돌아섰다.

이같은 공조 기대로 한국 중국 대만 싱가포르 증시도 반등했다. 나스닥100, 다우선물도 반등했다. 금리인하의 영향은 짧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