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盧 '03년초 남북정상회담 놓쳐"

머니투데이 김성휘 기자 2008.10.01 16:14
글자크기

"6.15 기념일 지정했어야…대북식량지원 시급"

참여정부 첫해인 2003년, 남북이 정상회담을 위해 특사를 교환하는 데까지 합의했으나 더 이상 논의가 진전되지 못해 정상회담이 무산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지원 "盧 '03년초 남북정상회담 놓쳐"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2일 오후 전남대에서 특강을 갖고 "노무현정부는 2003년초 남북정상회담 기회를 놓쳤다"며 "퇴임 4개월을 앞두고 정상회담을 하긴 했지만 쉽게 이행할 수 있었던 10·4선언의 약속도 지키지 않았다"고 밝혔다.



박 의원에 따르면 대통령직 인수위 시절인 2003년 초 노무현 당선자 측은 북한과 접촉,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특사교환을 논의했다. 노 대통령 취임 초에는 실무자간 특사교환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박 의원은 "그러나 보다 구체적인 합의를 위해 베이징에 나온 장성택 노동당 행정부장을 그 누구도 만나지 않았다"며 "약속을 어긴 것"이라고 말했다. 또 "사유야 있었겠지만 돌이켜 보면 너무나 아쉬운 일"이라며 "(2007년의) 10·4 선언이 2003년에 이루어졌다면 얼마나 많은 남북관계의 진전이 있었겠느냐"고 말했다.



박 의원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지난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이끌어낸 주인공이다. 그는 이날 강연에서도 "노 대통령은 재임시 6월15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했어야 했다"며 6.15 선언에 대한 애정을 숨기지 않았다.

또 2000년 정상회담 때 만났던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모습도 생생히 기억하는 듯 자세히 설명했다.

그는 "김 위원장이 완쾌되든 그렇지 못하든 후계구도에 대한 검토가 시작된다"며 "세 아들 중에서의 세습, 특정인과 군부의 집단지도체제, 급격한 김 위원장의 유고시에는 강경군부의 집단지도체제가 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세계식량기구가 북한의 실정을 밝힌 만큼 인도적 차원에서 조건 없이 즉각적인 식량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그것이 김정일 건강 이상설로 불안해하고 있는 북한사회를 안정시키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강연은 전남대 총학생회가 10·4선언 1주년을 맞아 마련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