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사업부지 줄줄이 '경매행'

머니투데이 송복규 기자 2008.09.16 16:28
글자크기

각종 규제·시장 침체로 사업 중단…금융비용 감당 못해 경매처분

법원 경매시장에 주택사업 부지가 쏟아지고 있다.

분양가상한제 등 정부 규제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전국에서 추진되던 개발사업이 대거 중단되면서 경매 처분되는 대형 토지 물건이 늘고 있는 것.

16일 경매업계에 따르면 올 1∼9월 전국에서 경매가 진행된 50억원 이상 대형 토지 물건은 총 14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5건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9월 분양가상한제 시행 이후 주택사업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자 금융권 등 채권자가 담보대출이자 등을 제때 갚지 못하는 채무자의 사업장을 서둘러 법원 경매에 넘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지난해 1∼9월 5∼11건에 불과했던 월별 물건수는 올들어 12∼24건으로 늘었다. 지난달엔 올들어 처음 20건대로 올라섰고 이달엔 2005년 이후 최대치인 24건이 진행될 예정이다.



오는 24일에는 경기 용인시 처인구 고림동 일대 4만2152㎡ 토지가 감정가 106억3542만원에 첫 입찰에 부쳐진다. 이 물건은 토지 전문가로 유명한 J씨가 타운하우스 등을 짓기 위해 사들인 땅이다. 전·답·도로·임야 등 용도가 다양하다.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일대 8725㎡ 대지도 오는 30일 경매된다. 이 물건은 죽전택지개발지구 내 주거용지다. 감정가 183억2250만원에서 1회 유찰돼 이번 경매 최저입찰가는 128억2575만원이다.

경기 평택시 지제동 일대 2만6529㎡ 토지는 오는 23일 경매에 나온다. 감정가는 152억2734만원. 택지조성 작업이 진행된 물건이지만 새 주인이 나타나지 않아 이전 경매에서 2번이나 유찰됐다. 이번 경매는 감정가의 64%인 97억4549만원에 진행된다.


전문가들은 각종 규제와 시장 상황 악화로 주택개발사업 추진이 어려워지면서 시행사 등이 보유한 초대형 토지 물건들이 경매시장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경매 전문가는 "막대한 금융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사업부지를 내놓는 시행사들이 늘고 있다"며 "대부분 일반 부동산 시장에서 사업장 매각에 나서지만 선뜻 사겠다는 투자자가 없어 경매 처분을 기다리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