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장 "외환위기로 갈 가능성 전혀없다"

머니투데이 서명훈 기자 2008.09.04 12:15
글자크기

(종합)"외화유동성 문제 없어… 中企 애로 타개 대책반 구성해 '지원'"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4일 최근 제기되고 있는 '9월 위기설'에 대해 “우리 경제의 기본 체력이나 현재의 상황을 볼 때 외환위기 극복과정에 직접 참여한 사람으로서 과거와 같은 위기로 갈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김 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국내외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20여명과 간담회를 가진데 이에 기자간담회를 자청, "시장에 막연한 불안감이 팽배하게 되면 근거 없는 루머에도 쉽게 동요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위기설에 제기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우선 외화 유동성 문제에 대해서는 “9월 이후 만기가 돌아오는 외화차입금은 404억1000억달러”라며 “9월 만기가 180억4000만 달러로 다소 많은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내 은행의 3개월 외화유동성 비율이 101.7%로 외화자산이 외화부채를 초과하고 있다”며 “8월중 단기 기간물 차환율도 128.1%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마디로 단기 외화유동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것.



단기외채 비중이 늘어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달러가 부족해서라기 보다는 금융회사들이 장기로 자금을 빌려주길 꺼리고 있기 때문"이라며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세계적인 현상이어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경기 침체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나 주택담보대출 등 은행 여신의 부실 가능성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 원장은 “저축은행의 PF대출에 대한 충당금적립비율이 90.6%인데다 충당금 규모 역시 9602억원에 이른다”며 “규정상 적립해야 하는 금액이 5408억원이기 때문에 4194억원을 추가로 적립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저축은행 PF대출 90%가 토지를 담보로 잡고 있거나 시공사가 보증하고 있다”며 “부실이 발생하더라도 상당부분 회수가 가능하고 부족분은 충당금으로 흡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소기업대출과 가계대출 역시 안전하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김 원장은 “은행권의 중기대출 연체율은 7월말 현재 1.43%로 다소 높아졌지만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며 “중기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적립률이 6월말 현재 138.4%여서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대책도 약속했다. 그는 “조만간 중소기업 애로 타개 대책반을 마련해서 어려움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잠재력 있는 기업이 금융회사의 잘못으로 문을 닫는 것은 사회적 죄악”이라고 지적했다.

6월말 현재 가계대출 역시 평균 연체율과 부실채권비율이 0.7%와 0.39%에 불과하다고 소개했다. 주택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율(LTV)은 48.8%여서 추가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리스크관리에는 문제가 없는 상황이다.

그는 “가계 전반에는 문제가 없지만 저소득층은 문제가 될 수 있다”며 “그 부분을 정밀하게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이 가장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은 펀드 대량 환매. 김 원장은 “8월말까지 주식형펀드 수탁고는 27조7000억원이 증가했다”며 “대규모 환매조짐은 아직 없지만 9월 들어 투자심리가 악화되고 있어 추이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최근 금융시장 상황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나타냈다. 김 원장은 "우리나라 경제의 펀더멘털과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은 양호한 수준"이라며 "최근 유동성 위기설이나 일부 대기업의 자금 위기설 등 여러 가지 '설'이 시장에 난무하고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금감원은 지난 3일부터 근거 없는 악성 루머를 유포하는 행위에 대해 증권업계와 공동으로 일제 단속에 착수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