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600조..주택대출 연체율은 0.5%

머니투데이 반준환 기자, 권화순 기자, 이새누리 기자 2008.09.04 07:49
글자크기

[위기설 이슈 점검 5] 가계부채

6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9월 위기설'의 진앙지는 아니지만, 이자를 감당치 못하는 소비자들이 속출하면 '금융권 수익악화→기업자금 경색'
의 악순환 고리가 형성되는 등 후폭풍이 만만치 않은 탓이다. 금융권은 그러나 충분한 관리능력이 확보된 만큼 가계대출을 위기설의 한 축으로 보는 시각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가계대출 600조원 육박=한국은행이 집계한 올 5월말 현재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489조6243억원에 달한다. 통계를 내기 시작한 지난 2003년 11월 이후 최고치다. 여기에 카드, 캐피탈 등 비예금 기관들이 취급하는 대출, 신용판매, 할부 등을 더하면 600조원에 육박한다.



가계대출은 '기업-금융-소비자'간 원할한 자금순환을 도와 경제성장에 보탬이 될 수 있지만 급격한 경기 침체가 오면 막대한 부실을 초래하는 '양날의 검'과 같다. 특히 가계대출 대부분이 주택담보대출로 이뤄져 있어 부동산 시장이 냉각되면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5월말 기준으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28조1548억원이다. 2~3년전 취급된 것들이 대부분으로 만기가 올해부터 2010년에 집중돼 있다. 특히 최근 잇따른 금리 상승으로 대출자의 이자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때 마다 가계부채가 2조원씩 늘어난다. 대출 없이 대출이 늘어나는 구조다.



반면 부동산 가격은 하락조짐이 뚜렷하다. 국민은행 (0원 %)에 따르면 올 들어 전국 아파트매매가격 상승률은 5월 0.6%, 6월 0.5%, 7월 0.3% 등으로 둔화되고 있다. 강북 일부를 제외한 서울 지역 대부분이 내림세로 돌아섰고 경기, 인천도 비슷한 사정이다.

또 부동산에 소비자들의 자금이 묶인 탓에 기업매출이 줄고, 이는 다시 가계소득을 감소하는 악순환 고리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고유가 탓에 가처분소득도 감소하는 추세다.

◇주택대출 연체율 0%대=그러나 충분한 관리가 가능한 만큼 가계발 위기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 금융권 입장이다. 주택대출 및 가계신용대출의 연체율이 최저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다. 고객들 역시 과거 신용위기 당시 터득한 경험으로 무리한 대출을 자제하고 있다. 은행도 리스크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현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5%, 신용대출은 0.7% 수준에 불과하다"며 "경제성장이 한창 이뤄지던 90년대 연체율이 1.2% 정도였다는 점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은행들은 설령 연체가 증가하더라도 주택담보대출에 LTV(담보인정비율) 및 DTI(총부채상환비율)를 여유롭게 적용하고 있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최근 신규 주택담보대출 취급을 자제하고, 앞으로 2~3년에 집중된 만기구조를 완화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

카드사들 역시 연체율이 1~3%에 불과하다. 출혈경쟁 논란이 빚어졌던 카드발급도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크레딧뷰로(개인신용평가·CB)에 따르면 신규카드 발급 중 신용도가 낮은 6~10등급 소비자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15% 전후에 불과하다.

금융권은 다만 시장금리의 인상추세가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체급증→소비위축→금융권 수익악화→기업 자금경색'의 악순환 고리로 연결될 수 있는 탓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주택대출은 대부분 담보가 잡혀있어 연체가 발생해도 금융권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며 "다만 금리상승이 계속되면 소비자 부담이 커지는 만큼 글로벌 신용경색 완화와 적절한 정부정책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