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흥기업②]미분양 처리 지연으로 속앓이

더벨 길진홍 기자 2008.08.22 09:40
글자크기

[위기의 주택건설사]분양가 인하, 해외 토목사업 진출 모색중

이 기사는 08월21일(15:25)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진흥기업 (893원 ▲3 +0.34%)은 '효성그룹' 울타리로 들어간 이후에도 여전히 미분양의 덫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유동성 위기를 가져왔던 전주와 대구, 부산의 미분양 아파트를 여전히 처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토목부문 신규수주가 급감하면서 '미분양 적체'와 '매출 부진'이라는 이중고에도 시달리고 있다.

◇토목수주 '줄고' 주택 비중 '늘고'



진흥기업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토목부문에서 강세를 보였다. 올림픽대로, 노량진대교 확장(1988년, 330억원), 서해안고속도로 당진~서천(1998년, 705억원)간 공사 등의 굵직굵직한 토목사업이 진흥기업의 손을 거쳤다. 2004년에는 전체 수주잔고 중 토목부문이 34%를 차지했다.

그러나 2006년 이후 토목부문의 신규 수주가 급감하고 있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연평균 25%에 이르던 토목 신규수주 비중은 지난해 15.9%로 주저 앉았다. 올해 효성그룹으로 대주주가 바뀐 이후에도 토목부문 수주는 신파주변전소토건공사(173억원), 검암2근린공원(3억7400만원), 음성군 하수관거 BTL(61억원) 등 3건에 불과하다.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다주는 일감이 줄어들고 있는 셈이다.

반면 주택부문 수주액은 큰 폭으로 늘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민간주택 수주실적은 1조4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토목부문 수준(2조2831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공공공사 발주 감소에 따른 토목부문 수주경쟁 심화와 높은 원가율이 주택사업으로 눈을 돌리는 원인이 됐다.


img1.gifimg1.gif
◇무리한 지방 공략

토목에서 주택으로의 사업 중심 이동은 지방 부동산 시장 침체와 맞물려 유동성 압박을 키우는 불씨가 됐다. 진흥기업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분양한 아파트는 모두 7309가구. 이 가운데 67%에 이르는 4888가구가 수도권을 제외한 부산, 광주, 대구 등 지방에 집중됐다.

지방에 쌓인 미분양만 1509가구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부산 363가구, 광주 346가구, 대구 259가구, 전주 232가구, 진주 202가구 등이다. 특히 전주와 대구는 입주일이 지났는데도 주인을 찾지 못한 아파트가 491가구에 달한다.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의 적체는 입주율을 떨어 뜨려 잔금회수까지 어렵게 하고 있다.

분양 계약자를 76%까지 채운 전주시 호성동 호성2차더블파크는 입주율이 50%를 밑돌고 있다.

입주 때 치러야 할 잔금 중 일부를 납부기한까지 유예해주고 있지만 미분양 해소가 지지부진한 상태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시에 기부체납한 소방도로 일부가 인근 병원시설 부지와 겹치면서 준공승인마저 늦어지고 있다. 대구에서는 지난해 12월 입주를 시작한 달성군의 진흥더블파크 259가구가 빈집으로 남아있다.

img3.gifimg3.gif
◇"분양가 인하, 공종 다변화등 자구책 마련"

진흥기업은 2010년까지 6331가구의 아파트를 추가로 공급할 예정이다. 수주액만 1조1644억원 규모.

진흥기업은 용인과 구리, 남양주, 인천 등 입지가 양호한 수도권 일대를 중심으로 올해 2987가구를 내놓을 계획이다. 문제는 예전과 달리 주택경기기 침체되면서 수도권 청약열기가 시들해지면서 분양 성공을 낙관 할 수 없는 처지가 됐다는 점. 또 울산 중산, 진주 문산 등 지방의 대단지 수주물량을 해소해야 하는 부담도 있다.

진흥기업은 원가 절감을 통한 분양가 인하로 미분양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또 일부 지방 사업장은 시공권을 매각해 주택부문 몸집을 줄이고 있다. 인천 영종신도시와 시흥시 죽율동 시공권을 한라건설과 대림산업에 넘긴 것도 이와 맥을 같이 한다.

울산 등 지방 사업장은 수요가 많은 중소형 평형으로 설계를 변경하는 자구책도 마련 중이다. 또 공종 다변화를 위해 토목부문 인력을 확충, 해외 토목사업 수주 확대도 대안 중의 하나다.

진흥기업 차트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