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환율 1050원선도 내주나

머니투데이 이상배 기자 2008.08.19 18:05
글자크기
- 원/달러 환율 1050원 코앞
- 당국 "원화 평가절하, 유로화 만큼은 아냐"
- 일정수준 이상에서는 재개입 가능성도


원/달러 환율이 1050원선의 턱밑까지 뛰어오른 가운데 물가안정을 위해 환율 하향안정을 유도해온 정부가 1050원 이상의 환율을 용인할지 주목된다.



글로벌 달러화의 강세가 이어지는 동안에는 정부도 추세를 거스르는 강력한 개입을 통해 환율을 무리하게 끌어내릴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19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5원 오른 1049.4원으로 장을 마쳤다. 8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올해 최고점인 1050.4원(7월4일 종가)에 바짝 다가섰다.



외국인이 주식시장에서 대규모 매도에 나서며 달러화의 수요를 보탰다. 이날 코스피시장에서 외국인은 3700억원 어치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미국의 양대 국책 모기지업체인 프레디맥과 패니매에 대해 구제금융이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신용위기 우려가 재확산된 영향이 컸다.

시장의 관심은 당국이 연고점인 1050.4원의 돌파를 용인할지 여부다. 그러나 정부는 현재 시점에서 연고점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1∼2개월 전에는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달러화 수요 증가 등으로 환율이 올랐지만 지금은 글로벌 달러화 강세의 영향이 크다"며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소 달라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가파르게 절하(환율 상승)되긴 했지만, 유로화가 달러화 대비 평가절하된 만큼은 아니다"며 "유로화, 엔화 등 주요 통화들과 비교할 때 아직 원화 환율의 추세가 크게 괴리돼 있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다"고 밝혔다.

물가급등의 주범이었던 국제유가가 하락세로 돌아선 가운데 최근 물가안정을 위한 기준금리 인상도 단행된 터여서 정부 입장에서는 물가안정을 위한 환율 정책에 대한 부담이 크게 줄었다.

지난달 7일 환율 하향안정을 위한 개입 의지를 천명한 뒤 100억달러가 넘는 외화보유금을 쏟아부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환율이 제자리로 돌아왔다는 점도 정부가 적극 개입에 나서기 부담스러운 이유다.

그러나 물가 불안이 여전하다는 점에서 일정수준에서는 정부가 다시 환율급등을 막기 위한 개입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유로화, 엔화 등 다른 통화에 비해 원화의 약세가 과도하게 나타날 경우에는 개입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환율 상승의 속도가 빠른 것은 사실"이라며 "환율 상승이 물가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외환딜러는 "정부가 여전히 물가를 중시하고 있는 만큼 연고점인 1050원선 이상에서는 정부가 개입을 단행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