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검역주권 등에 대한 담론은 한때 전국민적 컨센서스가 됐지만 100일이 지난 지금, 실재의 세계에는 찬성론자들과 반대론자들, 진보와 보수 등의 구획선이 더욱 선명해졌다.
왜곡 또는 오역이 사실(fact)을 대체했든 아니든 간에, MBC PD수첩이 다우너소(주저앉는 소)를 광우병에 걸린 소인 것처럼 각인시킨 뒤 증폭된 광우병 논란과 촛불시위의 영향 중 하나는 실재의 세계를 사는 경제주체들이 이미 치렀거나 앞으로 치러야 할 경제적 비용의 발생이다.
언론과 기업들은 촛불시위와 광고중단운동의 여파를 세차게 경험하며 생각지도 못한 비용을 치렀다.
이 기간에 기업들은 항의전화를 받느라 업무에 차질을 빚고 불매운동의 위협에 직면해야 했다. 논란이 분분하긴 하지만 새로운 소비자운동이라고 하기에는 이 '소비자군'의 구매력이 불투명했고, 정치적 색채가 도드라졌다.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여기는 개인과 집단들 중 일부는 소송에 나서며 손실의 회복을 꾀하고 있다.
이 시각 인기 뉴스
'시민과 함께하는 변호사들'과 '과격불법 촛불시위 반대 시민연대'가 MBC PD수첩을 상대로 100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추진 중이며 광화문 일대 상인들은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참여연대, 진보연대, 국가 등을 상대로 17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냈다.
개인ㆍ언론ㆍ기업이 입은 직접적인 손실보다 더 크고 경제적으로 환산하기 쉽지 않은 것은 국가 이미지 추락과 같은 무형의 손실이다.
일본의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촛불시위가 장기화되자 "국제 신용도 저하가 우려되는 가운데 과격한 폭력 시위와 파업은 해외의 한국 불신을 조장한다"는 내용의 사설을 썼다.
세계경영연구원이 지난달 초 해외 기관투자자 2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촛불 문화가 한국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10명 중 4명꼴로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촛불시위 기간을 포함한 상반기 외국인들의 직접투자 순투자액(유입액-유출액)은 마이너스 8억8610만 달러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지난 80년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경제학)는 "촛불시위는 국내외 투자자들이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불안하게 만들었고 이는 환율ㆍ물가ㆍ금리ㆍ주가 등 경제 전반에 부정적으로 반영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반미ㆍ반글로벌라이제이션 등과 같은 주장이 촛불시위를 통해 확산됐다"며 "이 같은 시위가 반복될 경우 앞으로 여러 가지 경제정책을 추진하는데 상당한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