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B-'급 건설사, 유동성 경색 가능성 크다

더벨 김은정 기자 2008.07.28 10:28
글자크기

한신평, PF보증 채무 한계수준

이 기사는 07월28일(08:02)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BBB-'등급 건설사들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채무가 한계수준에 달해 유동성 경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진단됐다.



주요 재무비율의 급격한 악화가 'BBB-' 등급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금융권의 건설업에 대한 리스크 강화까지 맞물려 상황은 더욱 어렵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28일 ‘건설사 재무현황 및 PF우발채무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매출액, 자산총계, 자본총계 등에 대한PF보증 총액의 비율이 신용도가 낮은 기업일수록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회사채 신용등급이 ‘BBB~BBB+’인 건설사들의 PF보증 총액은 자기자본 대비 약 3배 수준이지만 ‘BBB-’ 또는 기업어음 신용등급이 ‘A3-‘인 투자한계등급 건설사들의 PF보증 총액은 자기자본 대비 5배에 달했다.

◇ PF보증 리스크 50조원...분양률 70%미만이 절반

한신평이 신용등급을 평가한 31개 건설사를 분석한 결과 진행 및 신규예정 현장을 합한 총PF보증 규모는 42조원에 달했다. 특히 재무제표에 계상된 차입금 14조원을 합산할 경우 31개 시공사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리스크 규모는 50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 같은 사실을 방증하듯이 올해 상반기 건설사 부도는 전년 동기 대비 21.6% 증가했다. 해당 연도의 전반적인 분양성과를 파악할 수 있는 당해 판매율도 2002년을 정점으로 최근 5년간 급격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분양을 개시한 15.8조원의 PF보증 채무 중 우발채무로 부실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큰 분양률 70%미만 PF보증 비중이 절반을 넘어서고 있다는 데 있다.

'BBB-'등급 기업의 경우 분양률이 70%이상인 PF보증이 30% 정도에 불과했다. 한신평은 분양률이 30%~70%인 PF보증 사업의 분양률이 어느 수준까지 높아질 수 있는 지가 향후 신용도에 중요한 관건이 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업황 부진에도 불구하고 사업 리스크를 적절히 관리해온 우량 건설사들이 양호한 재무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공격적인 경영전략을 구사했던 하위권 건설사들은 재무여력이 급격히 소진되면서 유동성 경색 가능성이 높아졌다.

공격적인 영업전략을 구사해온 'BBB-'등급 건설사들의 재무지표 하락폭이 더욱 컸던 것.



◇ 규제완화 미지수...레버리지 축소와 유동성 관리 필요

회사채 신용등급 ‘BBB’ 이상 건설사들에 비해 영업기반이 취약한 'BBB-'(투자한계등급) 건설사들의 2007년 매출액은 2005년 대비 17.3%나 증가했지만 영업이익 규모는 오히려 감소했다. 효과적인 영업활동이 이뤄지지 못했다는 의미다.

송병윤 한신평 연구위원은 “투자한계등급 건설사들의 수익성 저하보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자산건전성 악화”라고 강조했다.

채권 회수 지연 및 재고부담에 따른 운전자금 증가가 매입 채무를 통한 현금수지 조절력을 초과하면서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창출력이 급격히 약화됐다는 설명이다.

현금 창출력 약화는 자금 창출력 소진과 자금부족 현상으로 이어지고 이를 또 다시 외부차입으로 충당하면서 차입금 및 레버리지 비율이 높아지는 악순환이 계속된다.

특히 부채 상황능력과 같은 유동성 지표가 약화되면 체감하는 재무건전성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최근 건설업에 대한 금융권의 리스크 관리가 강화되면서 건설사의 유동성 여력은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송 연구위원은 “부동산 시장 가격 안정 후 시장규제 완화라는 정책기조를 갖고 있는 신정부의 입장에서 주택시장에 대한 과감한 규제 완화정책을 실시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때문에 진행사업의 분양성과나 보유자산을 통한 재무융통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정부정책 변화에 따른 수혜를 기대할 수 있을 때까지 현실성 있는 자금관리 계획이 서 있어야 하는 까닭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