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9월 위기설 해법은 있나

더벨 최명용 기자 2008.07.25 17:36
글자크기

[thebell note]

이 기사는 07월25일(17:06)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건설사들을 공포에 몰아넣고 있는 큰 루머 중 하나는 9월 위기설이다.



건설사들이 아파트 건설 자금으로 빌린 프로젝트파이낸스(PF)대출 만기가 9월에 많이 몰려 있는데, 연장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이를 상환할 자금을 확보하지 못한 건설사들은 한순간에 부도가 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금융권은 불안한 세계 경제 하에서 리스크를 관리하는 쪽으로 전략을 선회하고 있다. 대출 연장보다는 회수쪽에 무게를 더 두고 있다. 은행채는 포화상태에 달했고, 예금은 늘지 않는 상황에서 은행권들은 가장 먼저 건설사 대출을 회수하기 십상이다.



자율워크아웃 등도 있으니 9월 위기는 어찌어찌 넘길 수도 있겠다. 그러나 내년 1분기엔 2차 뇌관이 기다리고 있다. ABS, ABCP 등의 만기가 올 12월부터 내년 1분기에 몰려 있다. 수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한꺼번에 회수되면 건실한 기업들마저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몇 해 전만 해도 정말 잘 나가던 건설사들이 왜 이렇게 됐을까. 어떻게 이처럼 높은 강도의 위기가 한순간에 왔을까. 주택건설사들의 자금 상황 등 위기를 진단하면서 이런 질문이 들었다.

결국 위기는 건설사와 금융사들이 자초한 면이 크다.


부동산 불패 신화를 믿고 경기가 꺾이지 않을 것이고 막연히 기대했을 것 같다. 리스크를 분산하지 않고, 한시기에 대출이 몰리고, 특정 사업장에 자금이 몰린 것은 모두 이런 기대감 탓이다. 리스크 분산을 하지 않은 금융사와 건설사의 책임이다.

2년 전만해도 금융사들은 건설사들에게 퍼주기 식으로 자금을 빌려줬다. 사업성이 떨어지는 지방 사업장도 토지매입부터 은행권 자금을 갖다 썼다. 분양만 하면 100% 성공했으니 당연했다. 사업성에 대한 검토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건설사들도 '잘되는 곳에 집중하자'는 식의 올인 전략을 폈다. 물론 일부 대형 건설사들은 해외 사업 등으로 눈을 돌렸지만 주택전문 건설사들은 '분산'보다 '집중'을 선택했다.

해외 사업, 토목공사 등은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지만 마진율은 낮다. 자체적으로 땅을 매입해서 시공과 분양까지 처리하는 '자체주택사업'은 한건에 몇 백억원의 이윤을 남기는 대박사업이다. 주택건설사들은 이 같은 자체 주택사업의 비중을 늘렸다. 그땐 좋았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가 꺾이면서 이 같은 올인 전략이 그대로 리스크로 돌아온 것이다.

해결책은 있을까. 뾰족한 해답은 없다. 건설사들이 자체적으로 해결할 방법은 거의 없어 보인다.

대출 만기가 연장되지 않으면 다른 자금을 확보해야 한다. 회사채를 발행하던가, 직접금융시장에서 유상증자 등의 루트를 통해야 한다. 신뢰를 잃은 건설사들이 이런 자금을 구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정부의 부동산 부양 정책 뿐이다. 미분양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는 정책, 감세 혹은 대출 확대 등 부동산 경기를 살리는 방법이 나와야 한다.

이 같은 강도높은 부동산 경기는 시장의 충격이 있어야 가능한 수단이다. 한마디로 몇 군데 건설사들이 망해야 나올 법한 카드다.

한 크레딧 애널리스트는 과거에 누렸던 혜택의 대가로 겪는 고통의 순간이라고 했다. 리스크 분산을 하지 않고 올인 전략을 편 전략 실패를 반성하고,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벌일 시간이다. 이 시즌을 무사히 넘긴 건설사들은 또 다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