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위기론? 대처하기 나름!

머니투데이 김익태 기자, 서명훈 기자, 권화순 기자 2008.07.22 08:10
글자크기

"위기현실화냐 찻잔속 태풍이냐", 금감원 '부실위험 측정' 선제대응

금융시장 불안과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최근 2,3년새 PF대출에 적극 나선 상호저축은행들의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저축은행이 '한국판 서브프라임'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저축은행발 금융위기론'은 당국이나 고객, 시장 참가자들의 대응에 따라 현실화될 수도, 찻잔속의 태풍에 그칠 수 있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정부의 체계적인 대책, 시장의 신중한 접근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금융감독 당국은 PF대출의 사업성을 사업장별로 재평가하는 한편 부실 위험을 측정하기 위해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하기로 했다. 이를 토대로 저축은행별로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하거나 추가 증자를 통한 자본확충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21일 "PF 대출은 2,3개 저축은행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아 개별 저축은행 보다는 사업장별로 리스크를 평가해야 한다"며 "6월 결산이 끝나는 대로 사업성 평가와 스트레스 테스트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또 2007회계연도(2007년 7월~2008년 6월) 결산이 마무리되는 대로 내부 유보를 통해 손실흡수 능력을 확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주주 배당을 최대한 자제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저축은행이 7226억원의 사상 최대 순이익을 내자 내부유보를 크게 늘리도록 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저축은행 배당액은 400억원을 밑돈 반면 유상증자(4000억원)와 대손충당금 적립액(2932억원 증가)이 크게 늘어났다.

이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 규모는 다소 줄어들겠지만 지난 해에도 5000억원 내외로 예상된다"며 "내부 유보를 강화해 손실 흡수 능력을 키우도록 지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워크아웃이 진행 중인 PF대출에 대해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2009년말까지 단계적으로 높일 계획이다. 지난 3월말 현재 9.5% 수준인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올 연말까지 15%로 높이고 내년 말에는 25%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경우 워크아웃 사업장의 정상화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만큼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또 적립비율을 한꺼번에 높일 경우 경영실적이 나빠질 수 있어 단계적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