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시위 폭력의 악순환, 책임은 누구에게?

머니투데이 박종진 기자 2008.06.30 18:02
글자크기
↑ 28일 밤 세종로 사거리 인근 ⓒ홍봉진 기자↑ 28일 밤 세종로 사거리 인근 ⓒ홍봉진 기자


정부와 시위대 간 전면전 양상이다. 연일 촛불시위에서 격렬한 충돌이 반복되는 가운데 '폭력'의 책임을 둘러싼 공방도 뜨겁다.

정부는 강력대응에 주요 근거로 시위대의 폭력성을 내세운다. 경찰은 28일과 29일 시위에서만 전의경과 경찰 112명이 다치고 경찰버스 35대가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정부의 대응은 발 빠르다. 30일 오전 경찰은 광우병 국민대책회의와 참여연대 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지난 주말에만 187명을 연행했고 국방부는 '예비군 부대'를 겨냥해 예비군복을 시위에 착용하지 못하도록 관련 규정 변경을 검토한다는 소리도 나왔다.



경찰은 또 29일 오후 서울시청 앞 광장 일대를 원천봉쇄 했다. 촛불시위 59일만에 처음이다. 불법 폭력시위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임채진 검찰총장도 30일 전국 부장검사 회의에서 "불법과 폭력으로 얼룩진 이번 사태에 종지부를 찍을 때가 됐다"고 말했다.

시위대의 입장은 다르다. 경찰의 강경진압이 충돌을 부른다는 주장이다. 대책회의는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이 시민들을 의도적으로 거리로 내몰고는 거리의 시민을 폭행하고 마구잡이로 연행하는 등 세상은 20년 전 군사독재를 향해 거꾸로 곤두박질하고 있다"고 정부를 맹비난했다.



시위에 참여한 시민들은 "몇몇 술취한 사람들이 과격행위를 하는 경우는 있지만 대다수는 기껏해야 밧줄로 버스 당기고 연행당하려 하면 맨손으로 저항하는 수준이다. 방패와 곤봉으로 무장한 경찰의 폭력과 질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한다.

실제 정부가 쇠고기 고시 관보게재를 강행한 지난 25일 이후 경찰의 폭력진압은 거침이 없었다. 현역 국회의원, 주부, 노인, 초등학생까지 무차별 연행됐고 유모차에도 소화기를 뿌렸다.

지난 주말 시위에서는 경찰 쪽에서 날아온 소화기 및 쇠뭉치 등 각종 이물질에 시민들이 맞아 부상을 입기도 했다. 도로 위에 쓰러져 있는 20대 여성을 전경들이 곤봉으로 때리고 발로 짓밟았으며 인도에 서 있는 의료지원단원을 방패로 찍었다.


경찰의 강경대응은 현 정부의 의지가 반영됐다. 이명박 대통령이 24일 "국가 정체성에 도전하고 불법 폭력적인 시위는 엄격히 대처해야 한다"고 말한 이후 하루 만인 25일 밤 '물대포'가 나왔다. 27일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시청 광화문은 무법천지 해방구" 발언, 29일 관계장관회의 대국민담화에서 "과격 폭력 시위자 끝까지 추적 검거하겠다"는 등 정부 여당은 엄정대처 방침을 연이어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쉽사리 시위가 가라앉지는 않을 전망이다. 28일에는 지난 10일 이후 최대인파(주최측 추산최대 20만, 경찰추산 1만5000명)가 몰렸다. 대책회의는 경찰의 원천봉쇄에도 불구하고 매일 저녁 촛불시위를 강행하겠다고 밝혔고 오는 7월2일과 5일에는 대규모 집회도 계획하고 있다.

여전히 시위에 '만' 단위의 시민들이 참여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서둘러 소통을 닫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경찰이 시위대의 방송차량을 억류하고 서울광장을 에워싸 시위 자체를 막으려 할수록, 단순해산에서 검거 위주로 진압방식을 바꿀수록 오히려 폭력사태는 더 늘어나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