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 IMF 위기 온다고?(상보)

머니투데이 김동하 기자 2008.05.18 18:39
글자크기

S&P·다이와證, 잇단 부정적 전망… 정부는 금리 3.25%p 올려

베트남 경제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무역적자와 인플레이션 등에 대한 특단의 조치가 없을 경우 IMF 관리체제로 들어갈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1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2일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푸어스(S&P)가 베트남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낮춘데 이어 최근 다이와증권은 보유 베트남주식을 모두 처분할 것을 주문하고 나섰다.



피케이 바수 다이와종합연구소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헬로 IMF'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베트남 무역적자는 지난 반년동안 급증했으며, 올해 1~4월에만 무역적자가 111억 달러로 지난해 전체 무역적자 124억달러에 육박하고 있다"며 "적절한 정책이 취해지지 않으면 수개월내 국제통화기금(IMF)체제로 돌입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이와종합연구소는 일본 다이와증권의 부속연구소로 싱가포르에 위치해 있다. 바수 연구원은 인도계로 미국 펜실베니아대 와튼스쿨, 말레이시아 정부, 크레디트스위스(CS)등을 거쳐 지난해부터 다이와종합연구소에 합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수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12개월간 무역적자가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의 30%에 해당하는 210억달러에 달했고, 4월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4월보다 21.4% 급등하는 등 과열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경제안정을 위해 베트남 정부는 이자율을 20~25%올리는 등의 엄청난 긴축정책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S&P가 이미 투기등급인 베트남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stable)에서 '부정적'(negative)으로 낮춘 점도 거시경제의 안정성 리스크가 급증했음을 시사한다.

S&P는 베트남이 경기 과열로 성장이 둔해졌을 뿐 아니라 인플레이션, 무역적자 등의 심각한 문제를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베트남 정부의 행보도 우려감을 뒷받침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달까지만해도 금리인상 계획이 없다고 밝혔던 베트남 중앙은행은 오는 19일부터 기준 금리를 기존 8.75%에서 12%로 올렸다.

치솟는 물가 뿐 아니라 경제성장 둔화도 우려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앞서 응웬 신 훙 베트남 수석 부총리는 지난달 베트남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9%에서 7%로 낮췄다고 밝혔다. 베트남의 1분기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7.4%로 지난해 같은기간 8.5%보다 둔화됐다.

다이와증권 관계자는 이에대해 "싱가포르 부속연구소에서 밝힌 일종의 경고성 메시지로 해석된다"며 "IMF 돌입 가능성에 대해서는 투자기간에 따라 관점을 달라질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나 반론 또한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국내에서 베트남펀드를 출시하면서 베트남증시의 '큰손'으로 등장한 한국금융지주 측은 "IMF체제 돌입은 논리적 비약"이라며 즉각 반박했다.

김승환 한국투신운용 호치민사무소장은 "베트남 경제가 불안정한 것은 인정한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고금리와 무역적자에 시달리고 있다고 곧바로 IMF에 구제금융 즉 달러차입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은 논리적 비약"이라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지난해 무역수지적자가 124억달러에 달했지만 베트남의 외환보유액은 2006년말 10조원에서 지난해말 21조6000억원으로 급증했다"며 "이는 외국인 직접투자와 자본수지 등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1997년 한국이 IMF 구제금융을 신청할 당시 단기부채비율이 외환보유액 대비 300%이었지만 베트남은 지난해말 현재 9%에 불과하다"며 "실제 단기부채의 만기연장이 어려울 경우에도 보유 외환으로 상환하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동식 한국투신운용 글로벌운용본부 운용2팀장은 "보고서의 논리적 비약이 심해 별도의 대응조치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베트남 펀드수익률이 이미 반토막 난 상황에서 이번 리포트가 시장에 충격을 안겨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국제금융센터도 지난 9일 베트남 경제와 관련한 보고서에서 "경상수지 적자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 해외 근로자 송금 등으로 외환보유액(현재 250억달러 추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대외 채무 지급 능력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