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인수후보, 줄줄이 포기

더벨 박준식 기자 2008.04.11 11:10
글자크기

오리온·아주 이어 동국제강도 불참가능성..남은 후보 인수여력 작아

이 기사는 04월11일(08:55)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쌍용건설 (0원 %) 인수 후보들의 포기 선언이 줄을 잇고 있다.



최종입찰 참가자격을 얻은 오리온 (15,110원 ▼100 -0.66%)이 지난달 가장 먼저 입찰 불참을 밝힌데 이어 아주그룹도 지난 8일 인수포기를 공식화했다. 강력한 인수후보로 평가받던 동국제강 (8,310원 ▼130 -1.54%)마저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고개를 들고 있다.

자칫하면 남양건설과 군인공제회 2곳이 50%의 확률을 놓고 최종 입찰을 치루는 웃지 못할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쌍용건설 인수 후보들이 잇따라 인수의사를 철회한 것은 정권 교체와 노조반발 등으로 매각일정 자체가 지연된데다 우리사주조합 등 매각구조의 불확실성으로 인수열기가 사그라들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 쌍용건설 매각이 지연되는 가운데 대우조선해양이 매물로 출회되자 동국제강이 M&A 계획을 급변경할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다.

대우조선이 더 좋아 = 동국제강은 아직 쌍용건설에 대한 공식적인 포기의사를 밝히진 않았지만 호황을 맞은 조선업을 신사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포스코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겠다는 것.


동국제강은 브라질 철광석 공급사 발레와 일본 제철사 JFE 등과 함께 브라질 세아라주에 2개의 고로를 건설할 계획이다. 고로가 완성돼 쇳물을 뽑아내고 조선사를 인수하게 되면 수직계열화가 이뤄져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다. 원료구매 협상력을 높이고 유통마진을 제외해 그만큼 이익을 늘릴 수 있는 셈이다.

장세주 회장은 최근 "철강업계 차원에서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추진하겠다"고 밝혀 포스코에 러브콜을 보낸 상태다. 경영진의 관심은 이미 인수 가능성이 낮은 쌍용건설보다는 매각일정이 구체적이고 인수 시너지가 확실한 대우조선으로 기운 것.

지난해 말 기준 동국제강의 현금성 자산은 약 7350억원. 하지만 올해 당진공장 설비와 신사옥 건설 등에 4500억원, 내년 해외투자 등에 8500억원이 필요하다. 쌍용건설 인수 가능성이 제기될 때마다 주가가 빠지는 이유는 시너지가 모호한 반면 인수로 인한 유동성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174억으로 7000억 조달 불가능 = 쌍용건설 인수에 가장 많은 의욕을 보이는 곳은 남양건설. 하지만 인수여력이 크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남양건설은 호남 지역의 관급공사를 중심으로 업력을 높여온 지방건설업체. 회사측은 관련인력을 서울 임시사무소에 주재시키고 인수의지를 높이고 있지만 자금여력이 충분치 않다는 평가다.

실제로 남양건설이 인수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현금성자산은 174억원으로 최대 7000억원까지 예상되는 입찰가격의 10%에도 못미친다. 최근 금융권이 대우조선 등 메가딜에 대비해 실탄을 아끼고 있어 금융조달 전망도 부정적이다.

여기에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받은 제재도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자산관리공사(캠코)가 진행하는 M&A의 경우 후보 평가기준에 도덕성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남양건설은 최근 하도급 업체에 미분양 아파트 69세대와 수입차 6대를 떠넘겨 불공정거래 제재를 받았다.

펀드 성격 공제회는 자격미달 = 본입찰까지 참여할 것으로 보이는 군인공제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주로 재무적투자자(FI)로 활동해 온 성격상 건설업 운영을 위한 경영인력이 없다는 맹점이 후보자격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군인공제회는 이 때문에 최근까지 입찰자격을 유지한 채 컨소시엄을 이룰 전략적투자자(SI)를 물색해 왔다. 문제는 이마저도 쉽지 않다는 것. 종업원지주회사 설립을 주장하는 우리사주조합원이 다수 포함된 현 경영진을 배제하고 장기성장을 이끌 SI는 국내에 많지 않다게 관계자들의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공제회 특성상 인수에 성공하더라도 장기적인 성장이나 투자보다는 단기차익을 노린 실적조절에만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며 "쌍용건설이 2~3년 후에 다시 매물로 나올 경우 공적기관인 캠코의 책임문제가 불거질 수 있어 인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