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 만든 키워드, 박재승의 난·징발론

머니투데이 오상헌 기자 2008.04.08 11:02
글자크기

18대 총선 이슈 되짚기<하>

# 박재승 효과= 민주당도 극심한 공천 갈등을 겪어야 했다. '저승사자'로 불린 박재승 공천심사위원장이 몰고 온 서슬퍼런 공천 칼바람이 당을 휩쓸었다.

공심위의 부정·비리 전력자 일괄 배제 방침으로 '실세'들이 줄줄이 낙천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인 김홍업 의원과 정치적 계승자 박지원 전 비서실장이 탈락했다. 당 지도부인 신계륜 사무총장과 김민석 최고위원도 공천 탈락의 쓴 잔을 맛봤다.



일부 공천 탈락 인사는 무소속 출마를 강행했다. 박 위원장의 '대쪽 원칙론'에 당 지도부는 '박재승의 난'이라며 반발하기도 했다. 하지만 국민들은 박 위원장에게 박수를 보냈다. 여론에 밀린 지도부도 결국 그의 손을 들어줬다. '박재승 효과'란 말도 그때 나왔다.

# 지도부 '징발론'= 대중적 인지도를 앞세운 당 지도부가 수도권에 출격해야 한다는 '징발론'은 선거전 초반 민주당을 강타했다. 개헌 저지선(100석) 확보를 위해 당 지도부가 수도권 바람몰이를 주도해야 한다는 절박감 때문이었다.



대선 후보였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이 1차 타깃이 됐다. 정 전 장관은 서울 동작을 출마를 전격 선언했다. 손학규 대표도 서울 종로에 출사표를 던졌다.

손 대표는 동작을의 정 전 장관과 서울 북부·남부 벨트에서 민주당 바람을 불러일으키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한나라당의 독주 판세 속에 기대섞인 '바람'에 그치고 말았다는 평이다.

# 돈다발 선거= 금권선거는 18대 총선에서도 어김없이 등장했다. 강원 태백·영월·평창·정선에서 한나라당 공천을 받은 김택기 후보는 지난 달 25일 돈 선거 사실이 적발돼 공천을 박탈당했고 결국 구속됐다.


돈 다발 파문으로 한나라당은 민심이반 사태에 직면했다. 당내에선 부적격 공천 책임론이 다시 타올랐다.

경북 경주에선 한나라당 정종복 의원과 친박연대 김일윤 후보가 동시에 금품 제공 의혹을 받는 일이 벌어졌다. 김 후보는 선거운동원들이 금품을 주고받은 혐의로 친박연대에서 제명됐다.

정 의원의 경우 선거운동을 돕고 있던 한 시의원이 유권자들에게 음식물을 제공한 의혹을 받아 돈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 성희롱 논란= 난데없는 '성희롱' 논란도 빚어졌다. 서울 동작을에 출마한 정몽준 한나라당 의원을 둘러싼 시비였다. 정 의원은 지난 2일 동작 유세 직후 MBC 여기자의 '뉴타운 발언' 질문을 회피하는 과정에서 해당 기자의 뺨을 만져 성희롱 의혹을 받았다.

정 의원은 이튿날 사실관계를 밝히는 과정에서 '거짓 해명' 논란까지 받아 정치적 위기를 맞기도 했다. MBC를 방문해 여기자에게 직접 사과함으로써 성희롱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야권은 거듭 정 의원의 후보 사퇴를 압박했다.

# 대통령 은평 방문= 4.9 총선 논란의 '대미'는 대통령의 선거 개입 논란이 장식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5일 서울 은평을 지역 뉴타운 건설 예정지를 방문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은평을은 이 대통령의 측근인 이재오 의원의 지역구. 이 의원이 문국현 창조한국당 후보에 밀려 고전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야당은 대통령의 선거 개입이란 비판을 쏟아냈다. 중앙선관위에는 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한 수사의뢰서가 접수됐다.

대통령의 은평 방문은 정몽준 의원이 주장한 오세훈 서울시장과의 '동작 지역 뉴타운 건설 확인' 발언과 맞물려 '관권선거' 논란을 낳았다. 선관위는 그러나 지난 7일 "대통령의 은평 방문을 선거법 위반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최종 결론을 내렸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