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생적 한계' 안은 포스코, 반전의 미소

더벨 박준식 기자 2008.03.07 13:00
글자크기
이 기사는 03월07일(07:50)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대우조선 M&A 큰 관심불구 공기업 이미지 '걸림돌'
-전광우 금융위원장 사외이사 출신… 정책배려 관심




메가딜은 시장논리로만 좌우되지 않는다.

대우건설 인수전의 최종 승리자는 금호아시아나. 두산그룹은 금호 컨소시엄보다 더 높은 가격을 써냈지만 '사회적 책임'이라는 평가항목에서 큰 감점을 당했다.



두산 고위관계자들은 아직도 "애통하고 분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경제구조 자체를 뒤흔들 수 있는 M&A는 이렇게 비계량 요소가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정부가 매각주체일 때는 이 같은 변수가 더 크게 개입된다. 정치 이슈가 경제 논리를 앞설 수 있다는 설명이다. 가격 변별력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인수적격성 판정에서 어떤 논리를 대느냐에 따라 매각의 향방이 뒤바뀐다.

'태생적 한계' 안은 포스코, 반전의 미소


대우조선해양 매각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지만 잠재적인 인수후보들의 물밑경쟁만큼은 어떤 M&A보다 치열하다.


매각주체인 산업은행 관계자들도 조선업 경기가 호황일 때 매각을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다. 올해를 넘기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머지않은 이 인수전의 가장 강력한 후보는 포스코다.



우선 최고경영진의 의지가 강하다. 이구택 회장은 소극적이던 지난해와 달리 최근 "대우조선 인수에 관심이 많다"고 태도를 바꿨다. 윤석만 사장은 인수의지를 묻는 질문에 "관심말고 더 좋은 표현은 없냐"는 말로 '관심을 넘는 관심'을 드러냈다.

재무적인 여력도 충분하다. 올해 M&A를 위해 마련해 둔 여유자금만 약 2조5000억원 이상. 조선에 필요한 후판을 국내에서 독점적으로 생산하는 포스코는 단독으로 대우조선을 인수할 수 있는 유력한 후보다. 원재료에서 완제품에 이르는 수직계열화를 이룰 수 있는 사업적 연관성이 인수매력을 더한다.

문제는 태생적 한계가 주는 걸림돌이다. 민영화가 완료되긴 했지만 한일협정 체결 대가로 사업을 시작한 공기업 성격의 포스코 (379,500원 ▲4,500 +1.20%)(구 포항제철)가 민간 M&A에 참여할 수 있겠느냐는 비판적 여론이 제기된다.



재무적으로 유동성이 넘쳐나지만 해외가 아닌 국내시장에서 민간경쟁에 뛰어들어 딜을 성사시키기 어렵다는 게 문제다. 농협의 사례도 이와 비슷하다. 단위조합 자금으로 대한통운을 인수하겠다고 공언했지만 끝내 인수전 참여를 포기했다. 이유는 여론의 부담이 만만치 않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비관적인 시각이 우세하던 이 문제는 지난 5일 극적인 터닝포인트를 맞았다.

이명박 대통령이 전광우 금융위원회 위원장을 임명하면서부터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전 위원장은 2004년 포스코에 사외이사로 참여하면서 인연을 맺기 시작해 최근에는 이사회 의장까지 역임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업계는 포스코의 딜레마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는 전문가가 현안을 주도할 자리에 앉게 됐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포스코는 역차별 가능성을 경계하면서도 표정관리에 애쓰고 있다. 인수전은 시작되지 않았지만 인수적격 여부에 관한 치밀한 논리를 만들기 위해 내부적으로 전략적 M&A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 최근 모 세미나에 참석한 포스코 관계자는 "(대우조선은)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말하기도 했다.

포스코가 기지개를 켤 수 있을지 두고 볼 일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