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사무실 임대료가 뉴욕보다 비싸다고?"

뉴델리·뭄바이(인도)=김익태 심재현 기자 2008.02.19 12:58
글자크기

[이머징마켓의 어메이징 기업]<11-2>부동산시장 폭등…외국기업 진출 걸림돌

인도 집값은 상상을 초월한다. 지난해 말 뭄바이 최대 번화가인 나리만포인트에 위치한 NCPA아파트 한 가구가 3억4000만루피(약 81억원)에 거래됐을 정도다. ㎡당 2500만원이 넘는 가격. 국립공연예술센터(NCPA) 주도로 개발된 이 아파트의 1990년대 초 분양가격은 ㎡당 7만5348루피(약 179만원). 무려 14배 가까이 뛴 셈이다.

↑ 지난해 말 한 가구가 3억4000만 루피(약 81억원)에 거래된 뭄바이 나리만포인트 소재 NCPA 아파트.↑ 지난해 말 한 가구가 3억4000만 루피(약 81억원)에 거래된 뭄바이 나리만포인트 소재 NCPA 아파트.


인근 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지. 뭄바이 도심권 아파트(방 3칸)의 월세는 22만 루피(약 520만원) 정도. 사무실은 3.3㎡ 한달 임대료가 300만원에 달한다. 실제 느끼는 부담은 훨씬 크다. 지역간 차이는 있지만, 3개월~3년치를 한꺼번에 요구하는 건물주가 많기 때문. "뭄바이 사무실 임대료가 뉴욕보다 비쌀 수 있냐"는 본사와 실랑이를 벌이는 한국 기업들의 모습은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치솟는 부동산 가격이 외국기업의 인도 진출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을 정도다. 임흥수 현대차 인도법인장은 "인도는 땅이 넓은 나라지만 땅이 없다. 좋은 땅은 이미 개발업자들이 선점해서 뉴델리에 사무실을 못 차리고 있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공장 부지 구하기는 하늘에 별 따기다. 일부 정당과 농민들이 결탁한 방해 작업으로 골머리를 앓기 일쑤다.

10년 전만 해도 인도의 국내총생산(GDP)에서 부동산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5배 정도로 규모가 커졌다. 매년 8%가 넘는 고도성장을 통해 높아지는 소득과 중산층 확대가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2005년 3월 치솟는 부동산 가격에 기름을 부은 일이 벌어졌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에 대한 외국인 투자 100% 허용 방침을 내놓은 것. 이후 지난해 상반기까지 약 190억 달러의 해외자금이 부동산 시장에 유입됐다.



↑ 인도 곳곳에 건설 붐이 일고 있다. 뭄바이 시내에 건설중인 아파트 단지-주상복합단지-뉴델리 시내 주택 건설 현장(왼쪽 위부터 시계반대방향)↑ 인도 곳곳에 건설 붐이 일고 있다. 뭄바이 시내에 건설중인 아파트 단지-주상복합단지-뉴델리 시내 주택 건설 현장(왼쪽 위부터 시계반대방향)
경제성장과 외국인 투자가 늘면서 사무실 수요가 급증했고, 이는 곧 주택과 쇼핑몰 등의 동반 공급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농현상으로 도시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것도 큰 문제다. 10년 뒤 인도의 도시 인구는 2억20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델리만의 경우 현재 1400만명의 인구가 2022년에는 230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에 비하면 거주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지금도 현재 인도 도시에서는 주택 2000만채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인도 정부는 뉴델리와 뭄바이 주변에 노이다·구르가온·나비뭄바이 등 위성도시 건설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부동산 열기가 뜨거워지자 기업들과 주요 투자기관도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인도 상공회의소는 2007년 약 190억 달러의 시장 규모가 2010년에는 600억 달러 정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도 주요도시 노른자위 땅을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업체들의 기업공개(IPO)도 잇따르고 있다. 부동산 붐으로 남긴 이익을 4년째 활황인 주식시장에서 더 부풀리겠다는 의도다. 인도에 진출 예정인 세계적 유통업체들이 인도 최대 부동산업체 DLF에 구애의 손길을 내미는 것도 다 이유가 있다.


DLF는 지난해 5월 기업공개(IPO)를 통해 24억달러의 자금을 끌어모았고, 파르스브나티·유니테크·소바 디벨로퍼스 등의 업체들도 신규로 발행한 주식이 첫 거래에서 발행가 대비 평균 80%의 프리미엄을 받았다.

마하라쉬트라주 경제발전위원회(MEDC)의 데쉬판드 위원장은 "경제가 발전하고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증가하는 것은 긍정적"이라며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규제를 푸는 등 토지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