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PF 부실여파 축소에 총력

머니투데이 반준환 기자 2008.02.17 16:59
글자크기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여파 축소에 여념이 없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저축은행들의 PF대출은 12조966억원으로 총여신 47조836억원의 25.7%에 이른다. 1건당 대출액이 큰만큼 부실이 발생하면 전체 자산건전성을 크게 깎아먹기 때문이다.

◇PF대출 연체율, 올해 6월말 20% 육박할 듯



17일 금융계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PF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6월말 기준 13%대를 기록한 이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올해 6월말이 되면 PF대출 부실율이 20%에 육박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부실자산 확대가 근본원인이지만, 신규대출이 축소됨에 따라 연체율 산정에서 분모가 되는 총대출액이 줄어드는 가수효과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형저축은행들은 PF대출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에 주목, 꾸준히 신규대출을 줄이는 추세다.

A저축은행은 지난해 초 50%를 넘겼던 PF대출비중을 연말 35%대로 내렸고, B저축은행 역시 대출을 억제하며 같은 기간 40%대 후반에서 초반으로 낮췄다. C저축은행은 PF대출을 전면 중단하고 회수에만 주력하고 있는 상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최근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라 신규 PF대출은 거의 없고 기존 대출의 회수 및 만기연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특히 최근 단기연체에서 장기연체로 넘어가는 사례가 증가해 리스크관리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PF대출은 지난해 상반기 12조4000억원 전후에서 현재 3000억원 가량 줄어든 상태다.

시장이 극도로 얼어붙은 터라 저축은행에서 접하기 어려운 우량 PF물건이 등장하는 경우도 목격되고 있다. 이는 주로 PF대출을 취급하지 않던 중소 저축은행들로 몰리고 있다.

◇자율 워크아웃 확대, 자산운용사 설립추진 등 분주

저축은행들은 PF대출의 연체기간 및 원인 등의 유형에 따라 여러가지 대책을 마련중이다. 분양 등 사업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시행사의 내부사정, 혹은 시중은행의 불참 등이 원인인 것은 만기를 연장하는 등 지원책을 쓴다. 보다 상황이 악화된 것은 지급보증한 시공사를 통해 채권을 확보하고, 담보물건을 인수해 되파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이런 방법들이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는 지난해 6월 저축은행업계가 시행중인 PF대출 자율 구조조정(Work Out) 프로그램에 넣는다. 사업 시행 지연 등으로 재무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동산 개발 사업장에 대해 이자 감면, 신규 자금지원을 시행해 조기 정상화를 유도한다는 것.

지난해 6월 말 기준 워크아웃 협약에 가입한 저축은행은 전체 107개 가운데 74곳(69.2%)인데, 사업규모는 당시 1500억원대에서 12월말 7800억원(21건)으로 크게 늘어난 상태다. 업계는 금융당국과 워크아웃 시행규모 및 가입조건 확대를 논의이다.

최근 업계가 추진중인 자산운용사 설립도 이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자산운용사는 총 5조원에 달하는 저축은행들의 여유자금 운용을 기본목적으로 하지만 사업시행이 지연되고 있는 PF사업장에 대한 지원도 목적 가운데 하나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사업성이 높지만 현재 경기침체로 연체가 된 사업장의 경우 자산운용사로 이연해 개발하거나 보유후 매각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며 "저축은행의 경우 비업무용 자산보유에 어려움이 크고 보유시 발생하는 자산연체율 악화 등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는 점도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