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특검, 비자금 조성 의혹 수사 가속화

머니투데이 류철호 기자 2008.02.05 10:11
글자크기

이무열 상무 3번째 소환‥경영권 승계 의혹 수사도 진행

삼성 비자금 의혹 등을 수사 중인 조준웅 특검팀은 5일 이무열 삼성전기 상무 등 그룹 계열사 임직원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차명의심계좌 및 경영권 승계 의혹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특검팀 관계자는 "오늘도 차명의심계좌를 보유한 삼성 임직원 6∼7명을 불러 계좌 개설경위를 조사할 것"이라며 "오전과 오후로 나눠 삼성전기와 삼성카드 등 계열사 임직원들을 소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전 10시께 특검 사무실로 가장 먼저 출두한 이 상무는 지난달 31일과 지난 1일에도 차명의심계좌와 관련해 특검 조사를 받았었다.

특검팀은 이 상무 등 차명의심계좌 명의자들을 상대로 계좌 개설경위를 추궁할 계획이다.



특검팀은 또 경영권 승계 의혹에 대해서도 관련 자료를 검토하는 등 수사를 계속 진행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특검팀은 이날도 금융사에 수사관들을 파견해 차명계좌 규명을 위한 계좌추적작업도 벌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특검팀은 4일 편법 경영권 승계 의혹 사건 중 하나인 e삼성 사건과 관련, 이 회사의 초대 대표이사를 지낸 신응환 삼성카드 전무를 소환해 조사를 벌였다.


특검팀은 신 전무를 상대로 이건희 회장의 아들인 이재용 전무에게 e삼성의 지분을 넘기는 과정에 위법사항이 있었는지와 삼성그룹 주요 계열사들이 경영권 승계 작업에 조직적으로 관여했는지 등을 추궁했다.

특히 특검팀은 지분 승계 과정에서 이건희 회장의 직접적인 지시가 있었는 지와 경영상태가 크게 악화돼 막대한 적자를 야기한 e삼성 지분을 계열사들이 사들인 경위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e삼성' 사건은 이 회장의 아들인 이재용 전무가 벤처기업 14개를 운영하다 무려 200억원이 넘는 적자를 내자 삼성 계열사들이 이들 기업의 지분을 사들여 그룹과 주주들에게 손실을 끼쳤다는 의혹이 제기된 사건이다.

이와 관련, 참여연대는 2005년 이 전무와 e삼성 지분을 매입한 8개 삼성 계열사 대표이사 등을 고발했었고 이날 조사를 받은 신 전무도 피고발인에 포함됐었다.

특검팀은 이들 사건 외에도 '삼성화재 증거인멸 의혹'과 관련, 이날 오후 김승언 전무와 김모 부장 등 삼성화재 관계자들을 피의자 신분으로 재소환해 보강조사를 벌였다.

특검팀은 김 전무 등을 상대로 압수수색 등 특검 수사에 대비해 전산자료와 문서를 조직적으로 인멸했는지와 최고위층 개입 및 지시 여부 등을 추궁했다.

특검팀 윤정석 특검보는 "아직까지 김 전무 등에게 정확히 어떤 혐의를 적용할지는 결정된 바가 없다"고 말했다.

이밖에 특검팀은 국세청에 수사 관련 자료 제출을 재차 요구해 자료가 도착하는 대로 검토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특검팀은 이와 관련해 법적 대응보다는 정상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특검팀은 설 당일을 제외한 설 연휴 기간 동안에도 수사자료를 검토.분석하는 등 수사를 진행키로 했으며 연휴가 끝난 뒤부터 본격적으로 피의자 소환 조사에 들어갈 방침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