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특검, 수사 확대..비자금 용처 수사

머니투데이 류철호 기자 2008.01.20 16:43
글자크기

(상보)

삼성그룹 3대 비리 의혹에 대한 특검 수사가 전방위로 확대되고 있다.

특검팀은 비자금 의혹 규명을 위해 '삼성 정·관계 로비 의혹'과 관련된 'X-파일' 사건 기록에 대한 전면 재검토에 착수하는 한편 그룹 계열사 핵심 간부들을 추가 소환해 비자금 조성 여부 및 용처를 캐는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삼성그룹 계열사 임원진 '줄소환', 비자금 의혹 수사 가속



특검팀은 20일 윤형모 삼성화재 부사장과 이 실 전 삼성문화재단 부사장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해 조사 중이다.

윤 부사장은 지난 2000년부터 2년여 동안 삼성기업구조조정본부 재무팀 상무을 역임한 뒤 2004년부터 1년간 삼성화재 기획담당 부사장을 지낸 인물. 특검은 윤 부사장이 계열사 임직원들의 차명계좌 개설에 깊이 관여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검팀은 또 삼성SDI 부사장을 지내기도 한 이 전 부사장의 경우 삼성전자 경영지원총괄 부사장을 지낼 당시부터 최근까지 이건희 회장이 이사장으로 있는 삼성문화재단 업무를 총괄하며 비자금 조성과 이 회장 일가의 개인 미술품 구입에 관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앞서 삼성 비리 의혹을 제기한 김용철 변호사는 "삼성은 2000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해 이 회장의 부인 홍라희씨와 신세계 이명희 회장, 이재용 전무의 빙모 박현주씨 등이 고가의 미술품을 구입하는데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김 변호사는 당시 "이 회장 일가는 지난 2002과 2003년에 걸쳐 수백억원대의 유명 고가 미술품을 구입했고 이는 미국 추상파 작가들과 독일 작가들의 작품이 대부분이었다"며 "이 기간에 미술품 구입 대금으로 해외에 송금된 액수만해도 600억원대에 이른다"고 의혹을 제기했었다.


특검팀은 이 같은 김 변호사의 주장을 토대로 삼아 이 전 부사장을 상대로 이 회장 일가가 미술품 구입에 사용한 돈의 출처를 밝혀냄과 동시에 비자금 조성 여부와 규모를 파악한다는 계획이다.

특검팀은 또 차명의심계좌를 개설, 관리해 온 배호원 삼성증권 사장과 민경춘 삼성사회봉사단 전무, 전용배 전략기획실 상무 등 사건 핵심 관련자들을 순차적으로 불러 계좌 개설 경위와 비자금 조성에 관여했는지를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한편 특검팀은 지난 19일 삼성구조본부 비서실 출신으로 삼성증권에서 전무를 역임한 김상기 삼성벤처투자 사장과 삼성물산 해외법인장과 삼성SDI 재무담당 상무를 지낸 김동식 제일기획 전무 등 2명을 불러 차명의심계좌 개설 경위 등을 캐물었다.

이와 함께 특검팀은 지난 18일에도 1990년대 초반 삼성그룹 재무팀에서 근무하다 1996년부터 1년간 삼성증권 경영지원실 임원을 지낸 성영목 신라호텔 사장과 삼성증권 실무자 등을 소환해 12시간여에 걸친 강도 높은 조사를 벌였다.

특검팀은 수사에 속도를 내 최대한 빨리 차명의심계좌에 대한 분석 작업을 마무리하고 핵심 관련자들을 소환 조사해 늦어도 설 전까지 비자금 의혹의 진상을 밝혀 낼 방침이다.

◆비자금 수사 원천...'X파일' 수사기록 검토

특검팀은 비자금 수사의 원천격인 'X-파일' 수사기록을 검찰로부터 넘겨받아 검토작업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X-파일' 사건 수사 당시 삼성으로부터 이른바 '떡값'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던 전· 현직 검사와 정치인 등도 특검 수사 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김 변호사는 조만간 특검에 삼성 정·관계 로비 의혹과 관련된 '떡값 명단'을 넘기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명단이 확보되는 대로 검토를 거쳐 관련자를 출국금지 조치하고 수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특검팀 관계자는 "비자금 수사의 원천인 이 회장 일가 미술품 구입 경위와 'X파일' 사건 수사기록을 면밀히 검토해 삼성이 비자금을 어떤 식으로 조성, 관리해 왔는지를 규명해 낼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법원으로부터 에버랜드 전환사채(CB) 헐값발행 의혹 사건 재판 기록도 넘겨받아 '불법 경영권 승계' 의혹과 관련한 수사에 착수키로 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