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이대론 인류미래 위협"

머니투데이 황국상 기자 2008.01.02 11:21
글자크기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공조는 1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세계 185개국에서 모인 정부 대표단과 환경단체 등 민간인들이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 모였다.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와 지구환경회의가 동시에 열렸기 때문이다.

UNCED는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를 안정화시켜 인위적으로 자연의 기후 체계에 주는 위협을 방지한다"는 내용의 기후변화협약(UNFCCC)를 채택했다. 이로써 기후변화 대응 국제 공조체제가 탄생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감축 목표 제시가 없는 한 '지구온난화 방지'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요원한 과제일 뿐이었다. 그래서1997년 일본 교토에서 열린 UNFCCC 제3차 총회에서 최초로 선진국에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과하는 '교토의정서'를 체결하기에 이른다. 개발도상국에는 별도의 의무가 부과되지 않았다.

현재의 이산화탄소로 인한 이상 기후변화가 200여년 먼저 산업화된 서구 선진국의 책임이 크다는 걸 인정한 결정이다.



교토의정서는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미국이 자국산업 타격을 우려해 탈퇴하는 등 무산위기를 겪기도 했지만 2004년 12월 러시아가 가입하는 등 범지구촌의 노력으로 2005년 2월 발효했다.

의정서 의무이행 기간인 2008년을 불과 3년도 남겨두지 않은 시점이었다. 10년 가까이 갑론을박을 하고 나서야 올해부터 본격적인 의무 이행기간에 접어든 셈이다.

지난해부터는 포스트 교토 체제 마련을 위한 논의가 가시화됐다.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패널(IPCC)은 "해수면 상승과 생태계 궤멸 등 지구온난화 폐해를 막으려면 주요 선진국들이 2020년까지 1990년대비 25~40%의 온실가스를 줄여야 한다"는 보고서를 내놨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도 9월말 각국 지도자들을 유엔으로 불러모아 "지구온난화 대응을 위해 필요한 것은 오직 각국 지도자들의 정치적 의지일 뿐"이라고 촉구했다.

그리고 지난해 말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UNFCCC 제13차 총회는 선진국과 개도국을 아우르는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방법론인 '발리 로드맵'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올해만 4번의 주요 회의를 거쳐 2009년까지 치열한 물밑 협상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온실가스 감축은 각국의 산업구조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등 경제 파급력도 엄청나 각국이 사활을 건 각축전을 벌일 태세다. 작년까지 교토의정서를 둘러싼 신경전적 성격이 강했지만 올해부터는 '본게임'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