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국영 족쇄' 풀까

머니투데이 진상현 기자 2007.12.21 10:48
글자크기

미리 보는 MB의 금융정책<2> 연기금 활용 분할 매각 등 기대감

새 정부가 풀어야할 금융 현안 중 하나는 우리금융의 민영화다. 외환위기 때 공적자금이 투입된 우리금융은 경영이 정상화됐음에도 여전히 정부 소유로 남아있다. 덩치(시가총액)가 커지면서 마땅한 인수주체를 찾기 힘들다는 것이 민영화 지연의 주된 이유다.

민영화가 지연된 것은 의지의 문제라는 지적도 나온다. 현실성 없는 최선의 방안 만을 고집하면서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는 유세기간에 우리금융의 민영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국책은행의 민영화 의지를 밝힌 만큼 우리금융에도 결단을 내릴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힘 못쓰는 주가=올들어 우리금융 주가는 다른 은행보다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무엇보다 정부가 최대주주로 있는 지배구조가 갖는 한계가 근본 원인이라는 분석이 있다.

비은행부문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금융회사의 순위가 요동치는 현 금융환경에서 정부가 대주주인 지배구조로는 경쟁에서 열세를 면키 힘들다는 논리다.



대표적 사례가 지난해 8월 신한지주 품으로 돌아간 LG카드 인수전이다. 당시 우리금융의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지분 73% 보유)는 민영화를 앞두고 있는 공적자금 투입 금융기관이 무리하게 LG카드를 인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우리금융의 인수전 참여를 막았다. 결국 신한지주는 LG카드를 통해 기업가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반면 우리금융은 수익성 열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의지의 문제=최근 정부는 내년 3월까지로 돼 있던 우리금융 지분에 대한 법상 매각시한을 삭제하는 금융지주회사법안을 통과시켰다. 매각시한에 쫓겨 무리하게 매각을 추진하는 일을 막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이번 매각시한 삭제가 우리금융의 민영화를 더 지연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무엇보다 정부의 민영화 의지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우리금융 주가는 올해 상반기까지 2만원선을 크게 상회하는 등 호조를 보였다. 하지만 예보가 이 기간에 매각한 우리금융 지분은 불과 5%다. 그것도 2004년 9월 이후 3년 만의 매각이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영권 관련 지분인 51%를 제외한 지분은 블록세일로 팔기로 했다면 시장이 좋을 때 최대한 빨리 팔았어야 했다"며 "상반기 5%밖에 못판 것은 납득하기 힘든 일"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 활용방안 등 대안=우리금융 민영화의 최대 난제는 마땅한 국내 인수자를 찾기 힘들다는 데 있다. 20일 현재 우리금융의 시가총액은 15조3546억원으로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지분 51%를 사기 위해서는 7조원 이상의 돈이 들어간다.

그래서 나오는 대안이 국민연금 등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국민연금과 다른 연기금, 기관투자가 등을 활용해 장기적인 국내 주주층을 형성하고 나머지는 장기 재무적 투자를 하는 외국계 기관투자가를 유치하는 형태다.

이 당선자의 경제브레인으로 참여했던 황영기 전 회장은 2004년 사모펀드가 20~30%를 대량매입하고 나머지는 전략적투자자나 금융투자자 등이 4% 정도씩 분할매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우리금융지주 관계자는 "황 전회장은 국민연금이나 포스코 등이 (금산분리) 의결권 제한선인 4%의 지분을 쪼개서 갖는 방법에 대해 얘기해왔다"고 전했다.

우리금융 지분 매각이 어렵다면 전문경영인에 의한 경영 자율성을 높이는 '국유민영' 방안도 거론된다. 정부가 우리금융과 맺은 경영정상화이행약정(MOU)을 폐지하고 주주로만 간여하는 형태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