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K 이면계약서는 위조' 밝힌 경위

머니투데이 양영권 기자 2007.12.05 11:38
글자크기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후보의 BBK 소유를 밝혀줄 핵심 증거라며 김경준 전 BBK 대표 측이 제시한 이른바 '한글 이면 계약서'는 위조된 것이라는 게 검찰의 결론이다.

이 사건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5일 이 한글계약서가 위조된 것이라고 최종 결론냈다.



검찰은 그 근거로 ▲50억원이라는 거액을 거래하는 계약서에 서명과 간인(문서의 종잇장 사이마다 걸쳐서 도장을 찍는 것)이 없고 ▲계약서에 찍힌 이 후보의 도장은 김씨가 업무용으로 사용하던 도장과 같고 ▲당시 사무실에서는 레이저프린터를 사용했는데, 이 계약서는 잉크젯 프린터로 출력됐다는 점을 들었다.

김씨 역시 수사 초기에는 이 이면계약서를 진본으로 주장했지만, 검찰이 이같은 증거를 제시하자 진술을 번복했다고 검찰은 밝혔다. 계약서에 나온 날짜보다 1년여 지난 시점인 2001년3월께 사실과 다른 내용의 문안을 만들어 이 후보의 도장을 찍었다는 것.



이 한글 이면계약서는 다른 영문계약서 3건과 함께 김씨의 모친이 지난달 23일 검찰에 제출하면서 그 진위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작성일자가 2000년 2월21일로 돼있는 이 계약서에는 ‘BBK투자자문회사의 주식 61만주를 49억9999만5000원에 이 후보에게 판다’는 내용을 담고 있고, 이 후보와 김씨의 도장이 찍혀 있다.

검찰에 제출하기 전부터 김씨의 누나인 에리카 김은 "이명박 후보가 BBK의 소유자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언론 인터뷰에서 밝혀 왔다. 또 김씨의 부인인 이보라씨가 지난달 21일 LA에서 기자회견을 하면서 이 계약서의 사본을 공개해 그 내용이 알려지게 됐다.


그러나 'BBK 주식은 한 주도 보유하지 않았다'고 해 왔던 평소 이 후보의 주장과 상반된 내용이어서 한나라당 측은 처음부터 위조본이라고 강하게 주장해 왔다.

검찰은 계약서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이 계약서를 곧바로 대검 문서감정실에 보내 정밀 분석하는 한편 찍힌 이 후보의 도장을 제조한 업자를 불러 도장을 판 시점과 제작 경위를 캐물었다. 동시에 BBK 사무실에서 일했던 직원 등을 참고인으로 소환해 진술을 들었다. 도장 업자와 BBK 직원은 김씨가 이 후보의 인감을 위조했다고 일치된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한때 e캐피탈의 전 대표 홍종국씨가 "이면계약서 작성 시점에 e캐피탈이 BBK의 실소유주였으며, 이 후보와는 관련 없다"고 검찰에서 진술한 것이 알려지면서 진위 공방은 '위조'쪽으로 급격히 기울었고, 결국 이날 검찰은 '위조본'으로 최종 결론을 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