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일부계열사 지난 문서 삭제중

머니투데이 전필수 기자 2007.11.15 12:15
글자크기

비자금 직접 연관성 판단 어려워… 민감한 시기에 진행 '관심'

김용철 변호사의 폭로로 비자금논란에 휩싸인 삼성그룹 몇몇 계열사에 지난문서 삭제작업이 대규모로 진행돼고 있어 긴장도를 더 하고 있다.

김 변호사 폭로와 관련된 그룹 전략기획실(구 구조조정본부)이 아닌 계열사들의 지난문서 파쇄라는 점에서 비자금 논란과 직접 연관은 어렵지만 민감한 시기에 진행되고 있어 '유비무환'성 아니냐는 뉘앙스를 낳고 있다.



15일 삼성그룹 계열사 인사들에게 확인한 바에 따르면 이번주 초부터 삼성 몇몇계열사들은 부서별로 보존연한이 지난 문서의 파기작업을 대대적으로 진행중이다.

문서 작성 업무가 많은 주요 계열사의 재무·인사·기획부서 등에서 파쇄 작업이 집중되고 있다는 후문이다. 이번 주 초부터 해당 작업이 이어져 일부 직원들은 해당 작업에 하루종일 매달리기도 한다는 것.



보관 연한이 지난 문서들을 폐기 처분하는 것은 기업에서 흔히 있는 일상적인 일이지만 이번 작업은 민감한 시기에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최근 파문에 대해 삼성이 느끼는 강도를 짐작케 한다. 최근 몇년동안 이처럼 대규모로 철저하게 문서를 정리하는 경우는 없었다는 것.

비자금논란 와중에 진행돼다 보니 일부 직원들 사이에서도 검찰수사 등에 대비한 '유비무환'차원에서 진행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이 15일 독자적으로 특별검사법안을 국회에 제출키로 한 가운데 수뇌부가 떡값로비대상으로 거론된 검찰은 검찰대로 수사착수가 쉽지않은 모양새다. 시민단체인 참여연대는 삼성을 고발해놓고도 검찰 출석요구를 거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삼성그룹 관계자는 "검찰 수사의 대상은 그룹인데 계열사가 문서를 파기할 이유가 있겠느냐"며 문서 파기를 부인했다.


그는 이어 "가끔 계열사마다 '문서대청소의 날' 등을 통해 필요없는 문서 등을 정리하는 경우가 있다"며 "실제로 그런 일이 있었다면 아마 그같은 행사의 일환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그룹 안팎에서는 최근 삼성전자 (81,500원 ▼100 -0.12%)와 전략기획실 등 핵심 라인에서 임원과 직원들에 대한 구조조정 등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그룹측이 임직원들에 대한 인사로 변화를 줄 것이라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실제로 12월에 있을 것으로 알려졌던 계열사 사장을 포함한 대규모 인사도 단행 여부를 두고 그룹 수뇌부 내에서 장고를 거듭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