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국 버블, 걱정은 되는데···"

머니투데이 이상배 기자 2007.10.21 15:16
글자크기
중국의 '증시 과열' 논란을 바라보는 정부는 난감한 입장이다. '중국 버블'이 우려되기는 정부도 마찬가지다. 특히 중국의 금리와 환율이 경기의 '안전장치' 노릇을 못한다는 게 가장 큰 걱정거리다.

그러나 정부는 중국과의 외교관계 탓에 우려를 쉽게 드러낼 수 없는 처지다. 게다가 당장은 중국의 증시 버블이 꺼질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지난 17일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중국의 주가가 높은 수준으로 올라 우려가 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권 부총리는 그러나 "중국 투자자들과 우리나라 투자자들이 투자하는 종목과 분야는 다르다"며 중국의 증시 버블 문제가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치명적이지 않음을 강조했다.



권 부총리가 "다르다"고 한 것은 중국 본토 주식과 홍콩 주식을 말한다. 최근 버블 논란의 중심에 놓인 것은 중국인들이 주로 투자하는 상하이 등 본토 주식이고, 우리나라 등 외국인들이 투자하는 것은 대부분 홍콩 H주식이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9월말 상하이 주식시장의 주가수익배율(PER)은 무려 56배에 달했다. 상장기업의 평균 시가총액이 56년치 순이익에 해당한다는 뜻이다.

홍콩 H주식의 PER은 그 절반 정도다. 우리나라의 이른바 '차이나펀드'들이 투자하는 대상인 홍콩 H주식의 고평가 문제는 중국 본토에 비해 크지 않다는 얘기다.


그러나 홍콩 H주식 역시 결국은 본토의 추세를 따라간다는 게 문제다. 올들어 지난 17일까지 상하이종합지수가 117% 오르는 동안 홍콩 H주식의 가격도 86% 상승했다.

최근 중국의 임금과 물가가 급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게 가장 우려되는 대목이다. 생산비용 상승으로 중국기업들의 이익이 크게 줄어들 경우 지금의 주가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에서다.

재경부의 한 관계자는 "금리와 환율 등 가격변수들이 자율화돼 있어야 물가급등 때 경기가 자연스럽게 조절되는데, 중국은 그렇지 못하다"고 말했다.

그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까지는 당국의 통제 아래 큰 문제가 불거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그러나 만약 그 이후 중국 실물경제에 이상이 생긴다면 금융시장은 충격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