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k's Mail]Joyful Life

행크 안(=안홍철) 외부필자 2007.09.28 13:12
글자크기

편집자주 '행크스 메일(Hank's Mail)'은 매주 금요일, 지난 한 주를 마무리하며 읽어보는 영문 시사 칼럼입니다. 비즈니스에 도움이 되는 일화와 유머도 함께 곁들여집니다. 필자 안홍철(미국명 행크 안)씨는 글로벌 기업 임원, IT기업 미국 현지 CEO, 세계은행 수석 금융스페셜리스트, 재정경제부 관료 등 다양한 경험을 거쳐 현재 KIC감사로 재직중입니다. 또 재미 시절 '미국 속으로'라는 고정코너를 머니투데이에 연재, 독자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경제·시사 지식을 유려한 비즈니스 영어를 사용한 휴먼 터치로 해석하는 '행크스 메일'과 함께 즐거운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Hank's Mail]Joyful Life


Dear all,

Good Friday morning!

I hope you are well back from the almost a week-long Korean Thanksgiving or Chusok. Thanks to the stretched-out holiday some people may be still enjoying the time of their lives on foreign soil by taking yesterday and today off and by making an earlier visit to the tombs of the ancestors.



The prevalence of nuclear families along with the change of times has now dimmed the value of family and its reunion on this special holiday. However, family reunion is the most cherished moment to the majority of people on a mass exodus to their hometowns from big citie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o them, family is the most reliable vehicle which encourages intimacy, love, and trust, where they can escape the competition of dehumanizing forces in our modern society, and provides love and protection from the rough and tumbling industrialized world.

During this holiday I had an opportunity to view a movie, “Joyful Life,” starring actors Chung Jinyoung, Kim Yoonsuk and Kim Sangho. The movie was about average Koreans who we can run into wherever and whenever we go: a professional unemployed under honorary retirement program, a quick delivery-man moonlighting as an alternate driver to earn his son’s tutoring fees, and a goose father running a used-car dealership for his kids and wife living in Canada. With little assurance and belief from their wives they ventured to fail again but successfully separated their worth as individuals from their performance.



A superbly solid story from everyday affairs around us! I couldn’t get up for a while after the movie ended. No wonder the movie has been directed by Mr. Lee Junik who has entertained us with other good movies such as “King’s Boyfriend” and “Radio Star.” In my opinion, this movie could compete for the movie of the year, although it may not record a box-office hit.

While I was walking with my wife, the poem, “If by Life You Were Deceived,” written by the greatest Russian poet, Alexander Pushkin, struck me.

If by life you were deceived,
Don’t be sad or mad at it!
On a mournful day, submit;
A joyful day will certainly come.


Heart lives in the future, so
What if gloom pervaded the present?
All is fleeting, all will go;
What is gone will then be cherished.

If by life you were deceived,
Don’t be mad at or lament over it!
On every day of despair, submit!
A joyful day will certainly come.

Heart lives in the future,
The present is sad;
All is brief, all is momentary;
And what passes away
Will then be treasured another time

If by life you were deceived,
Don’t be sad or mad at it!
On a sorrowful day, submit!
A joyful day will certainly come.

Heart lives in the future,
The present is always sad;
All is passing away in a moment
What is gone will then be cherished again.

Have a wonderful last weekend of September!

Hank

[What Is Life?]

A long time ago, there was an Emperor who told his horseman that if he could ride on his horse and cover as much land area as he likes, then the Emperor would give him the area of land he has covered.

Sure enough, the horseman quickly jumped onto his horse and rode as fast as possible to cover as much land area as he could. He kept on riding and riding, whipping the horse to go as fast as possible. When he was hungry or tired, he did not stop because he wanted to cover as much area as possible.

Came to a point when he had covered a substantial area and he was exhausted and was dying. Then he asked himself, “Why did I push myself so hard to cover so much land area? Now I am dying and I only need a very small area to bury myself.”

[Mr. Poe]

A professor asked a student to remain for a few moments after class. Holding out the young man’s assignment, the professor said, “Did you write this poem all by yourself?”

The student said, “Every word of it.”

The professor said, “Well, then, I’m glad to meet you, Mr. Poe. I thought you were long dead.”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금요일 아침입니다.

거의 한 주일간의 추석 잘 보내셨는지요? 긴 연휴 덕분에 어제와 오늘을 쉬고 조상 산소에 성묘를 일찍 끝내고선 아직도 외국에서 매우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계시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핵 가족이 보편화되면서 가족의 소중함과 이 특별 연휴에 가족을 만나는 것의 소중함은 이제 흐려졌습니다. 하지만 대도시에서 고향으로 대 탈출을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가족을 만나는 것은 가장 기다려온 순간입니다. 의식을 하고 있든 못하고 있든, 그들에게 가족은 현대 사회의 비인간적 세력간 경쟁으로부터 탈출을 할 수 있게 해주고, 친근함과 사랑과 신뢰를 키워주는 가장 기댈 수 있는 것이며, 거칠고 힘든 산업화 사회로부터 사랑과 보호를 해주는 것입니다.

저는 이번 연휴 동안 배우 정진영, 김윤식, 김상호 주연의 영화 '즐거운 인생'을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영화는 우리가 언제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보통 한국인들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명퇴를 한 백수, 아들 과외비를 벌기 위해 밤에는 대리 운전을 하는 퀵 써비스 맨, 캐나다에 사는 처자식을 위해 중고차 장사를 하는 기러기 아빠. 그들은 아내로부터 지원과 믿음을 받지 못한 채 또 다른 실패를 감행하지만, 개개 인간으로서의 그들의 가치와 그들이 이뤄낸 사회적 업적을 구분하는 데 성공합니다.

우리 주변에 흔해빠진 일상으로부터 아주 탄탄하게 만들어낸 스토리! 영화가 끝나고 저는 한동안 일어서지 못했습니다. 과연 '왕의 남자', '라디오 스타' 등의 좋은 영화를 만들어 우리를 즐겁게 해줬던 이준익 감독의 작품이었습니다. 제가 보기에 이 영화는 비록 흥행에는 대성공을 거두지 못하더라도 금년도 최우수 영화 경쟁은 벌일 것 같습니다.

아내와 함께 걷는데 러시아가 낳은 위대한 시인 알렉산더 푸쉬킨의 시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가 머리에 떠올랐습니다.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하지 말라
슬픈 날엔 참고 견디라
즐거운 날은 오고야 말리니

마음은 미래를 바라느니
현재는 한없이 우울한
모든 것 하염없이 사라지나니
지나가 버린 것 그리움 되리니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노하거나 서러워하지 말라
절망의 나날 참고 견디면
기쁨의 날 반드시 찾아오리라

마음은 미래에 사는 것
현재는 슬픈 것
모든 것은 순간적인 것, 지나가는 것이니
그리고 지나가는 것은
훗날 소중하게 되리니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하지 말라
설움의 날은 참고 견디면
기쁨의 날은 오고야 말리니

마음은 미래에 살고
현재는 언제나 슬픈 것
모든 것은 순식간에 지나가고
지나간 것은 또 다시 그리움 되리라

9월의 마지막 주말, 즐겁게 보내십시오!

행크

[삶의 의미]

옛날 옛적에 황제님이 계셨습니다. 황제님은 자신의 기수에게 말을 타고 달려 원하는 만큼의 땅을 커버하면 기수가 커버한 땅을 그에게 주겠노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과연 그 기수는 재빨리 자신의 말에 올라타 가능한 한 많은 땅을 커버하기 위해 최고로 빨리 달렸습니다. 그는 계속 달리고 달렸으며, 가능한 한 빨리 달리기 위해 말에 채찍질을 했습니다. 배가 고프고 지쳐도 그 기수는 가능한 한 땅을 많이 커버하기 위해서 멈추지 않았습니다.

그 기수는 엄청나게 많은 땅을 커버하고 지쳐서 죽을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그때서야 그는 자문했습니다. “이렇게 많은 땅을 커버하려고 왜 그토록 심하게 내 자신을 몰아세웠지? 이제 난 죽어가는데 내게 필요한 건 날 묻을 수 있는 조그만 땅이 아닌가?”

[미스터 포우]

교수님이 한 학생에게 수업이 끝나고 잠시 기다리라고 말했습니다. 학생의 숙제를 내밀며 교수님이 물었습니다. “이 시 전부 학생 혼자서 쓴 건가?”

학생이 대답했습니다. “한 자, 한 자, 전부 그렇습니다.”

교수님이 말했습니다. “음, 그렇다면, 미스터 포우, 만나서 반갑습니다. 난 당신이 옛날에 죽은 줄 알았어요.”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