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남북 정상회담서 비핵화 당연히 논의"

머니투데이 권성희 기자 2007.09.27 12:16
글자크기
청와대는 27일 조지 부시 대통령이 북한을 '야만정권(Brutal Regime)'이라고 규정한데 대해 다음달 2~4일 남북 정상회담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을 통해 '부시 대통령의 유엔총회 발언이 남북 정상회담에 영향을 주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부시 대통령의 발언은 미국이 지향하는 민주주의에 대한 일반적 가치를 부각하는 차원에서 몇 개 나라를 예로 들면서 북한을 꼽은 것"이라며 "특별히 북한에 대해 지적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당연히 유엔이 인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국제기구이기 때문에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민주주의 가치를 당연히 얘기해야 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예로 든 것이기 때문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오히려 부시 대통령이 연설에서 강조한 것은 미얀마 문제였다"고도 지적했다.

부시 대통령은 지난 25일 유엔총회 연설에서 "모든 문명국가들은 독재정권하에서 고통을 받고 있는 주민들을 위해 나설 책임이 있다"며 북한을 벨로루시, 시리아, 이란과 함께 국민의 기본권리를 부정하는 '야만정권'이라고 비난했으나 북한의 인권상황에 대해선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백 실장은 북한과 시리아간 핵거래 의혹에 대해서도 ""우리 정부에서는 입장을 표명할 위치는 아니다"면서도 "시리아 문제는 지난 북미회담에서 김계관 북한 6자회담 수석대표도 우라늄 농축 문제에 대해서는 해명할 수 있다고 했기 때문에 6자회담의 틀 속에서 다뤄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 쪽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반도 비핵화 문제도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 의제로 다뤄질 것이란 점도 분명히 했다. 백 실장은 " "이번 정상회담 때 한반도 평화문제, 남북 공동번영의 문제, 화해와 통일의 문제 등 크게 3가지를 논의할 예정인데 평화문제에 있어서는 참여정부 초기부터 남북관계와 6자회담을 선순환시키겠다는 것이 기본입장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6자회담의 핵심은 비핵화 문제이고 또 남북관계에서 양측 최고지도자 두 분이 만나는 것인데 그런 차원에서 그 문제는 당연히 의제로 제기하고 두 분이 말씀하실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