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부동산PF 대출, 관리가능 수준"

머니투데이 서명훈 기자 2007.09.14 08:08
글자크기
금융감독원은 14일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 금융위기로 발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국내 부동산PF 대출과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은 차이점이 많아 미국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감원 노태식 부원장보는 이날 오전 불교방송 '조순용의 아침저널'에 출연, "금융권의 부동산PF 대출 규모는 70조원 수준으로 관리가 가능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6월말 현재 부동산PF 규모는 은행과 저축은행 등 직접대출이 48조원, 대출자산을 담보로 자산유동화증권(ABS)이나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 등으로 전환한 경우가 22조원으로 파악됐다.

노 부원장보는 "부동산PF 규모는 금융회사 총대출 규모의 4.8%,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에 불과하다"며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고 금융시장 불안요인이 없다"고 강조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부동산PF 대출 비중이 높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은행에 비해 PF대출 비중이 높고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도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PF대출을 총여신의 30% 이내로 유지하도록 했고 부실대출에 대한 충당금적립비율이 거의 100% 수준이어서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부동산PF 대출이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과 성격이 다르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노 부원장보는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신용도가 낮은 사람을 상대로 대출한 반면 우리나라의 PF 대출이나 주택담보대출은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신용평가회사의 평가를 받아서 대출한 것"이라며 "연체율도 미국이 10%대인 반면 국내은행은 0.19%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향후 대책에 대해서는 "정부 전체적 기관협조를 통해 면밀히 분석하고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필요하면 추가적인 대책을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