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논란 할부ㆍ리스사로 옮겨붙나

머니투데이 박홍경 기자 2007.09.11 14:55
글자크기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을 확대해 온 할부ㆍ리스사들의 펀더멘털 훼손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일부 은행계 회사들은 재무리스크 통제를 위해 유상증자가 필요하는 지적이다.

한국신용정보는 10일 '할부ㆍ리스사의 리스크변화'라는 스페셜 리포트를 통해 "장기적 관점에서는 부동산 PF대출의 확대가 할부ㆍ리스사들의 사업안정성 제고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한신정은 부동산 PF대출의 부실화와 자기자본 완충능력 변화와 관련된 테스트 결과 , 신한캐피탈과 하나캐피탈, 기은캐피탈 등 3사는 필요한 자기자본 증가 규모가 연간 산출 가능한 순이익규모를 상회, 외부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나왔다.

부동산PF 대출의 부실화가 15~20% 수준으로 악화될 경우에는 부동산 PF대출 규모가 큰 신한캐피탈, 산은캐피탈, 롯데캐피탈, 외환캐피탈 등의 연체율이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부동산 PF대출의 건전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인 시공사의 신용등급을 고려할때 부동산 경기 하강이 심화된다면 건전성 저하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우려됐다.

최중기 수석연구원은 "부동산 PF대출을 비롯한 일반대출의 확대는 업체들의 이익규모를 증가시켰지만 재무리스크가 증가하면서 긍정적 효과가 상쇄될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PF대출이 취급수수료를 포함한 연 수익률은 대부분 10% 이내로 기존자산에 비해 높지 않은 반면 연체발생 등에 따른 자산건전성 저하와 대손충당금 적립부담 증가 등으로 대손비용 부담이 상승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밖에 규제 측면에서 상호저축은행은 대손충당금 적립기준이 강화되면서 실질적으로 공격적인 대출확대가 어려운 상황이나 할부ㆍ리스사는 양적규제도 도입되지 않아 규제의 차이에 의한 풍선효과도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