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사태속 대기분양 물량 '쏟아진다'

머니투데이 김정태 기자 2007.09.06 09:53
글자크기

9~11월 전국 15만여가구… 주택업체 자금난 가중될 듯

주택업체들이 미분양으로 인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지만 '밀어내기식' 분양물량이 계속 쏟아지고 있다.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회피하기 위한 주택업체들의 '고육지책'이긴하지만 최근 중소 건설사들의 도산까지 야기한 미분양사태는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6일 건설교통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7월에 주택건설인허가를 받은 민간주택(주상복합아파트 포함)은 4만4421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7월(5만3582가구) 이후 12개월만에 최대인 동시에 올 상반기 월평균 인허가건수(1만9718가구)의 2.3배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1만924가구로 가장 많고 부산(9678가구), 서울(7034가구), 울산(4248가구), 경북(3482가구), 충남(1856가구), 광주(1559가구), 경남(1136가구) 등도 상당한 규모다.



7월 주택건설승인건수가 많은 것은 주택업체들이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앞다퉈 절차를 서두르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통상 주택건설승인 이후 분양승인신청까지 2~3개월 소요되는 것을 고려하면 7월에 승인난 물량은 11월말까지는 분양승인신청이 가능해 상한제를 피할 수 있다.

주택업계에서는 7월 이후 지난달 말까지는 주택건설승인신청이 지속적으로 늘었을 것으로 보고 있어 8~9월 승인건수도 7월에 못지 않을 전망이다.


부동산정보업체인 닥터아파트가 조사한 9~11월 분양물량에서도 전국에서 아파트 분양물량 15만1335가구가 쏟아질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수도권이 작년 동기 대비 30.9% 증가한 6만8000여가구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6만8561가구, 지방 5대 광역시 4만325가구, 지방 중소도시 3만9569가구다.

수도권은 전년 동기(5만2375가구)대비 30.9%(1만6186가구)로 크게 증가한 반면 지방 5대 광역시(4만6442가구) 및 지방 중소도시(6만8825가구)는 각각 7%, 42.5%로 분양물량이 줄었다.

수도권 지역에서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되는 파주 운정신도시, 용인 흥덕지구, 양주 고읍지구, 김포 양곡지구 등은 1만여가구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의 경우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건설사들이 분양시기를 앞당겼지만 지방은 분양시장이 워낙 좋지 않아 분양을 내년으로 연기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계에서는 6월말 기준 미분양주택이 9만여가구에 이르는 상황에서 주택업체들이 잇따라 분양에 나설 경우 미분양 물량은 더 늘어날 수 밖에 없어 주택업체의 자금난은 가중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