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프라임, 낙관이 위기 키운다"

머니투데이 진상현 기자 2007.08.30 14:13
글자크기

하나금융경영硏 "위기본질 그대로..증시 급락 재현 가능성"

"서브프라임(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의 본질은 그대로인데, 낙관론만 대두되고 있다"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한 금융시장 혼란이 어느정도 안정을 찾고 있는 가운데 과도한 낙관론이 위기를 키우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상황을 긍정적으로만 볼게 아니라 추가적인 충격에 대비하는 것이 파장을 최소화하는 길이라는 지적이다.

하나금융그룹 산하 연구소인 하나금융경제연구소는 30일 '서브프라임 사태, 이제부터가 중요하다'는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연구소는 글로벌 금융시장이 어느정도 안정을 찾고 있지만 본질적인 문제는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전체 서브프라임 관련 손실 추산액은 800억~1300억달러 정도이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정책, 금융기관의 대출 관리 정책 등에 따라 손실은 더 커질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오는 10월 이후 금리 재조정이 도래하는 변동금리모기지(ARM) 규모가 매분기당 1000억달러에 달하는 것도 사태를 낙관할 수 없는 요인이다. ARM은 초기에는 저금리로 대출을 해주지만 보통 2년 정도 후부터 금리 상향 조정이 이뤄진다.

몇몇 헤지펀드들의 추가 청산 가능성도 남아있다고 연구소는 밝혔다. 정문석 하나금융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헤지펀드의 환매 시차 등을 고려하면 헤지펀드들의 본격적인 환매는 아직 시작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미국의 실물 경기 역시 위축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밝혔다. 단지 폭과 시간이 문제라는 설명이다. 주요지표가 7월까지는 양호했지만 8월 이후가 문제가 될 수 있고 주택경기 악화로 미국 경제의 핵심인 소비와 고용도 나빠질 수 있다는 것.


정 수석연구원은 "글로벌 차원의 침체 가능성은 낮지만 글로벌 성장률 하락 우려는 적지 않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또 서브프라임 사태 안정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는 미국의 금리 인하가 9월 중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정 수석연구원은 "재할인율은 금융기관 자금흐름에만 영향을 주는 반면, 금리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버냉키 의장 생각"이라며 "향후 금융 불안 심화 또는 실물경기 둔화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만 개입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울러 "금리인하가 되더라도 경기침체를 막기에는 이미 늦었다는 시각도 있다"며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한 달러화강세도 부정적 요소"라고 덧붙였다.

국내 증시 역시 견조한 펀드자금 유입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급매도가 재현될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촉매는 헤지펀드의 본격적인 환매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헤지펀드가 고객으로부터 환매를 요청받으면 부실화된 부채담보부증권(CDO)를 중심으로 자산을 매각하고 현금 비중을 확대해야 하지만 CDO는 유동성이 낮아 대신 주식이나 채권 등 유동 자산을 매각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이로 인해 펀드펜털의 훼손이 없는 우량자산들이 매각되고 손실이 발생한 CDO의 비중이 높아지게 되면 CDO 비중이 높은 헤지펀드들의 경우 외부 자금지원이 없으면 환매중지 또는 청산 절차를 밟게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급격히 확대됐던 국내 증시의 외국인 매도세 역시 이런 경로를 거쳤을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정 수석연구원은 "국내 증시의 경우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커 포트폴리오 조정의 필요성도 맞물리고 있다"며 "낙관론이 팽배하면서 시장이 오르면 오를수록 리스크도 점차 커진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