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까맣게 덮인 북한산 정상…'러브버그' 놀란 비명 더 멀리 퍼졌다

머니투데이 강주헌 기자 2024.06.22 15:13
글자크기
북한산 등산객 A씨가 정상에 출몰한 러브버그떼 모습을 촬영해 공유했다. 사진은 지난해 7월 북한산에 러브버그가 몰려있는 모습. /사진=인스타그램 갈무리북한산 등산객 A씨가 정상에 출몰한 러브버그떼 모습을 촬영해 공유했다. 사진은 지난해 7월 북한산에 러브버그가 몰려있는 모습. /사진=인스타그램 갈무리


2년 전부터 서울 은평구와 경기 고양시 등 북한산 주변을 중심으로 등장한 '러브버그'가 올해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최근에는 활동 영역이 서울 전역으로 확대돼 피해가 커지면서 관련 민원도 급증하고 있다.

22일 윤영희 서울시의회 의원에 따르면 러브버그 관련 불편 신고는 2022년 4128건에서 지난해 5600건으로 약 27% 증가했다. 2022년에는 은평구·서대문구·마포구 3개 자치구에 민원이 집중됐지만 지난해에는 25개 자치구 전역에서 러브버그로 인한 불편 민원이 들어온 것으로 집계됐다.



러브버그는 북한산 등 산지에서 자주 출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기물이 풍부한 산지에 러브버그 유충들이 대거 서식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해발 836m인 북한산 백운대 정상은 러브버그로 인해 새까맣게 뒤덮였다.

최근엔 불볕더위 등 고온다습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서울 전역부터 경기·인천 일대까지 서식지가 확대됐다. 지난해 6월15일쯤 러브버그가 처음으로 발견됐는데, 올해는 폭염이 지난해보다 일찍 찾아와 출몰 시기가 6월 초로 당겨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서울시는 이달 1일부터 14일까지 러브버그와 관련한 민원은 184건 접수했다고 밝혔다.



러브버그의 정식 명칭은 '붉은등우단털파리'다. 주로 중국 남부 지역이나 일본 오키나와 등지에 서식하며, 암수가 짝짓기 상태로 날아다녀 러브버그라 불린다.

다만 러브버그는 생태계에 이로움을 주는 '익충'이다. 러브버그는 인체에 무해하고, 진드기 등 해충을 잡아먹는다. 유충은 흙바닥에 살며 낙엽과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디지털재단은 연구보고서에서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불빛 주변에 끈끈이 트랩을 설치하고, 찢어지거나 벌어진 방충망을 보수하며 밝은색 대신 어두운색 옷을 착용하는 것이 러브버그가 몸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