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기술력 1위인데 사업화는 낙제점…성장없는 혁신기업

머니투데이 지영호 기자 2018.08.09 04:03
글자크기

[위기의 지역벤처]④혁신지수 5년 1위, 유니콘기업 '잠잠'…지역대학 '사농공상' 여전

편집자주 지역벤처, 스타트업의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돈이 있는 곳에 사람이 몰리고, 일자리가 생긴다. 그런데 벤처캐피탈 10곳 중 9곳 이상이 수도권에만 몰려 있다. 혁신경제의 풀뿌리인 지역 벤처생태계를 살리기 위한 해법을 찾아봤다.

[MT리포트]기술력 1위인데 사업화는 낙제점…성장없는 혁신기업


"성장, 투자, 고용, R&D(연구·개발)에서 우리나라는 항상 상위권이었습니다. 블룸버그의 국가혁신지수에서 우리가 몇 년 연속 1등했다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이 지난달 청와대 페이스북 라이브방송 '11시50분 청와대입니다'에서 이같이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상임이사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를 지낸 그가 세계 경제 속에서 한국경제의 수준을 평가한 부분이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미국의 경제금융 전문 통신인 블룸버그가 매년 발표하는 국가별 혁신지수에서 한국은 5년 연속 1위다. 올해는 89.28점을 얻었다. 85점을 넘지 못한 2위 스웨덴과는 월등한 격차다.



싱가포르, 독일, 스위스, 일본, 덴마크, 프랑스, 이스라엘, 미국 등 80점을 넘긴 나라도 한국의 발 아래에 있다. 혁신지수는 국가별 △R&D(연구개발) 지출 집중도 △제조업 부가가치 △생산성 △첨단기술 집중도 △교육 효율성 △연구집중도 고등교육기관 진학자 수 △특허 활동 등 7개 분야를 분석해 점수를 부여한다. 국가별 미래산업 경쟁력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한국은 개별 항목에서도 최상위권에 있다. 올해의 경우 특허활동에서 1위, R&D 비중과 제조업 부가가치에서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엔 이 세 항목 모두 1위를 차지했다. 5개 분야에서 1~2위를 차지한 2016년 블룸버그는 "아이디어의 세계에서 한국이 왕"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하지만 생산성 항목에선 항상 기대에 못미쳤다. 올해 21위로 상승했지만 지난해 32위, 2016년 39위였다. 월등한 기술력과 혁신성장 기반을 갖추고도 사업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지표는 현실로도 나타난다. 그동안 한국은 중소벤처기업 발굴·육성을 위해 57조원이 넘는 정책자금을 쓰고도 10억달러 이상의 가치를 지닌 비상장기업을 뜻하는 유니콘기업을 거의 키워내지 못했다.

최근 글로벌 조사기관에서 발표한 100대 유니콘기업 중 우리 기업의 이름을 찾기 어렵다. 한 벤처업계 관계자는 "몇년간 제대로 된 유니콘기업이 나오지 않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혁신벤처기업이 성장하지 않으면 지금보다 일자리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서는 대학이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도 기업을 통한 성장에 소홀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대전 카이스트(KAIST), 포항 포스텍(포항공과대학), 울산 유니스트(울산과학기술원) 등 우수 기술을 보유한 지역대학이 상당하지만 기술지주회사 대표 상당수가 교수 출신이다보니 학문적 성과에 치중한다는 의견이다. 학문을 우선시하고 기업운영을 천시하는 이른바 '사농공상(士農工商)' 문화다.

한 벤처캐피탈(VC) 대표는 "뛰어난 기술을 갖고 있는 기술지주회사 책임자가 대부분 학계에 있다보니 기업 운영경험 부족으로 실패하거나 실패를 우려해 사업화에 적극적이지 않다"며 "교수는 CTO(최고기술책임자)로 남고 운영은 전문경영인이나 액셀러레이터에게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호 전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장은 "고급기술 기반 창업을 위해 대학과 기업연구소의 창업을 이끌어내야 한다"며 "창업실패 트라우마를 제거하기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