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 아닌 삶 연주하며 '빅 픽처' 그린 '영적 뮤지션'

머니투데이 제천(충북)=김고금평 기자 2017.08.16 06:00
글자크기

[제천에서 만난 재즈] ② 색소포니스트 존 콜트레인

편집자주 현대 대중음악은 상당 부분 재즈에 빚지고 있다. ‘낯설고 어려운’ 음악이라는 재즈에 대한 선입견이 클수록 재즈가 부리는 화성의 매력, 코드의 전환, 리듬의 향연에서 ‘베끼지 않으면 안되는’ 복제의 유혹도 넘쳐난다. 시대가 변해도 꾸준히 사랑받고 전설로 회자된 3명의 아티스트를 제13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 만났다. 재즈 피아니스트 빌 에반스, 색소포니스트 존 콜트레인, 재즈 보컬리스트 그레고리 포터가 그 주인공이다. 대중성보다 예술에 더 가까운 이들의 음악과 삶을 들여다봤다.

영화 '존 콜트레인 스토리'. 영화 '존 콜트레인 스토리'.


이미 14세에 재즈계 거장 조니 호지스의 음색을 닮았다는 소문이 퍼졌다. 어린 색소포니스트는 그렇게 음악을 시작했고, 학교 다닐 나이에 여러 거장과 현장에서 뒹굴었다. 비밥을 창시한 색소포니스트 찰리 파커의 무대를 보고 ‘내 길’임을 자각한 색소포니스트 존 콜트레인 얘기다.

이른 나이에 데뷔할 만큼 재능이 타고난 것 같지만, 그는 연습벌레였다. 옆집에서 귀를 찢을 듯한 소리에 민원이 들어오면 소리를 멈추고 손가락으로 운지법만 연습했다. 주변에선 “그가 손에서 악기를 놓는 법이 없었다”고 했다.



제대 후엔 여러 연주자와 온갖 연주를 소화했다. 그러던 중 마일스 데이비스를 보고 ‘좋은 뮤지션이 되고 싶다’는 꿈을 가졌다. 그는 결국 원하던 마일스 데이비스 퀸텟에 합류했다.

마일스 데이비스와 솔로 부분을 나눠 연주하면서 회자되는 아주 유명한 일화가 있다. 데이비스가 묻는다. “왜 그렇게 길게 연주해?” 콜트레인이 답한다. “언제 끊어야 할지 몰라서…” 데이비스가 정확하게 ‘답’을 알려준다. “그냥 입에서 악기를 떼면 돼.”



아무리 술에 취해도 점잖은 태도를 잃지 않기로 유명한 콜트레인은 타고난 내성적 성격 때문인지 늘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우주적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하는 데 충실했다.

동료 뮤지션과 지인들은 “콜트레인은 모든 종교를 섭렵해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데 관심을 보일 정도로 한 차원 더 깊은 '빅 픽처'를 그리길 좋아했다”며 “사색가인 아인슈타인의 영향도 받아 우리는 왜 존재하고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정체성도 깊이 탐구했다”고 말했다.

그의 사색은 연주에도 곧잘 이어졌다. 기교와 정교함으로 무장된 연주는 어느새 일반 대중이 이해하기 힘든 수준의 경외의 연주로 치닫는다. 한 동료 뮤지션은 “누구는 블루스를 연주하고 누구는 재즈를 연주하지만, 콜트레인은 삶을 연주한다”며 “그의 연주에는 늘 스토리가 있다”고 했다.


기타리스트 카를로스 산타나는 “듣다 보면 나도 모르게 어느새 울고 있다”며 “머리는 거부하는데, 몸은 저절로 반응하는 게 콜트레인 연주의 힘”이라고 했다. 빌 클린튼 전 미국 대통령은 “그는 음악으로 우주를 인식한다”며 “우리가 가고 싶은 그곳에 그가 이미 가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콜트레인은 음악 인생 후반기로 갈수록 영적 음악에 대해 확장력을 높였지만, 정치 같은 현실 문제에도 깊숙이 관여했다. 교회 폭발로 사망한 흑인을 위해 그는 '앨라배마'(Alabama)라는 곡을 썼는데,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연설을 음악으로 표현하며 많은 이들의 공감을 유도했다.

한 대중음악 평론가는 “콜트레인은 온도계가 아닌 온도조절장치 역할을 한 뮤지션”이라며 “온도계는 기온만 반영하지만, 온도조절장치는 기온을 바꾸기 때문”이라고 했다.

지미 헨드릭스가 기타계의 이단아이자 혁명가로 평가받았듯, 콜트레인 역시 색소폰계의 과학자이자 혁명가로 인식되고 있다. 아직 대중은 ‘실험적’이거나 ‘영적’ 대상으로 보는 작품이 어느 시점에서 시대를 앞서간 걸작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음악은 내 정체성에 대한 영적인 표출”이라는 콜트레인의 말은 진정성 있는 음악의 또 다른 해석이다. 40세 임종 직전의 그의 모습을 “아름다웠다”고 표현한 아내의 진의처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