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美 금리 2번 더 올려도 자본유출 압력 크지 않다”

머니투데이 유엄식 기자 2017.03.30 09:30
글자크기

“대외건전성 양호” 평가…3월 중순 이후 외국인 투자 순유입

지난 17일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는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14.50 포인트(0.67%) 오른 2164.58을 기록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지난 17일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는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14.50 포인트(0.67%) 오른 2164.58을 기록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한국은행이 ‘올해 미국이 두 차례 더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시장 관측에 무게를 뒀다. 이에 따른 국내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가능성도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현안보고를 통해 “미 연준(Fed) 금리인상이 우리 경제에 어려움을 줄 소지가 있으나 금리인상이 점진적으로 이뤄질 경우 그 정도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특히 미국의 ‘점진적’ 금리인상 속도와 관련해 “2017~2019년 매년 3회씩 인상한다”는 연준 금리전망 경로를 제시했다. 이는 지난 3월 FOMC에서 금리인상을 했기 때문에 올해 두 차례 금리를 더 올려도 속도가 빠르지 않다는 시장 평가와 궤를 같이한다.

한은은 “3월 FOMC 회의 이전 확산됐던 금리인상 가속화에 대한 우려가 완화됐다”며 “대부분의 시장 참가자들도 연내 3회 정도의 인상을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미국 금리인상시 △자본유출 압력 증대 △가계의 대출이자 부담 증가 △실물경제 회복 제약 등의 부작용을 예상했다. 다만 금리인상 속도에 따라 영향은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우선 자본유출 압력과 관련 “우리나라는 경상수지, 외환보유액, 국가신용등급 등에서 대외건전성이 양호하다”며 “외국인 채권투자는 중앙은행, 국부펀드 등 공공자금 비중이 높아 내외금리차 변화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지난 3월 15일(현지시간) 미국 금리인상 결정 이후 국내 주식시장은 7000억원, 채권시장은 8000억원 외국인 투자규모가 늘었다. 금리인상 이후 외국인 투자자금이 예상과 달리 순유입된 것이다.


다만 한은은 “미국 금리인상으로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경우 그 전염효과로 우리나라에서도 자본유출 압력이 커질 가능성도 있다”며 경계감을 나타냈다.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대출 리스크 문제도 거론됐다.

한은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가계가 추가로 부담해야 할 이자비용은 연간 약 9조원 늘어난다.

전체 가계부채 2/3 이상이 소득 상위 30%, 신용등급 1~3등급 차주가 보유하고 있어 전반적인 상환 리스크는 낮다는 게 한은의 평가다.

다만 한은은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 소득 하위 30% 저소득층, 신용등급 7~10등급 저신용자 등 취약차주의 경우 금리상승시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한은 추정결과 이들 취약차주가 보유한 대출규모는 지난해 78조6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전년말(73조5000억원)과 비교해 5조1000억원 늘어난 것이다.

미국 금리인상이 국내 성장률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미국 장기 시장금리가 100bp(1bp=0.01%포인트) 오르면 우리나라 장기금리는 29~47bp 동반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은은 미국 금리인상이 금리경로를 통해 가계와 기업의 이자부담을 늘리고 자금조달 여건을 악화시켜 소비와 투자를 제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국내 경제가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보험사, 연기금 등의 국내 채권수요가 유지되는 점에서 장기금리가 단기간 급등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이어 미국 금리인상 자체는 미국 경제회복을 근거로 진행되는 것으로 세계교역 측면에서 우리나라에 긍정적 효과도 기대된다고 부연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