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세]'알려진 리스크' IFRS17을 대하는 자세

머니투데이 전혜영 기자 2017.03.29 17:07
글자크기

편집자주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 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들이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입니다.

[우보세]'알려진 리스크' IFRS17을 대하는 자세


"보험 국제회계기준(IFRS17) 기준서도 나오기 전에 구체적인 준비를 하는 건 시험지도 안 받고 문제 푸는 격 아닙니까?"

최근 보험업계의 공통 화두 중 하나는 이름조차 낯설고 어려운 IFRS17이다. 2021년부터 국내 모든 보험사가 IFRS17 기준서에 따라 보험부채(준비금)를 기존의 원가평가 대신 시가로 평가해야 한다.

그깟 회계기준 하나 바뀌는 게 무슨 큰일이냐고 할 수 있지만 IFRS17의 후폭풍은 예상보다 어마어마할 수 있다. 계약자에게 지급해야 할 보험부채를 시가로 평가하게 되면 보험사의 부채가 늘어나고 부채 증가분만큼 자본은 감소하기 때문에 자본확충이 필요하다. 추가로 쌓아야 할 자본이 수십조원에 달하다 보니 'IFRS17이 시행되면 망하는 보험사가 생길 것'이란 말이 과장으로 들리지 않는다.



보험사들은 그간 마치 치르기 싫은 시험 준비를 미루듯 IFRS17과 관련한 준비를 미뤄왔다. 하지만 오는 5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기준서를 확정하기로 하면서 드디어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기준서가 확정되면 더 이상 대응을 미룰 핑계도, 시간도 없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보험사들이 큰 충격 없이 IFRS17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보험부채 적정성평가(LAT)와 RBC(보험금지급여력)제도 등 감독회계기준을 손보고 있다. 단계적으로 부채를 시가평가해 나갈 수 있도록 하고 보험부채 듀레이션(잔존만기)도 점차 확대해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변동성을 최소화 한다는 취지다.



금융당국은 IASB의 기준서 확정 전에 보험사들이 스스로 자산과 부채, 요구자본을 평가해 볼 수 있도록 필드테스트(실무평가)를 시작할 예정이다. 보험사들이 새로운 회계기준 적용에 앞서 먼저 대략적으로나마 재정 상황이 적정한지 살펴보라는 의미다. 이후 구체적으로 각 보험사의 영향을 직접 들여다보는 영향평가를 실시한다.

필드테스트와 영향평가가 진행되면 보험사들은 스스로 자본이 얼마나 부족한지, 자본잠식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당국의 최근 시뮬레이션 결과는 보험사 3곳의 자본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최근 실적이 반영되고 요구자본을 산출하기 위한 계수가 바뀌면 '위기의 보험사'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보험사 CEO(최고경영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IFRS17은 갑자기 닥치는 쓰나미가 아니라 미리 예고된 태풍"이라고 말했다. 보험사 경영진의 현실인식을 촉구하는 발언이자 일종의 경고이기도 하다. 알려진 리스크는 불확실성이 적다는 점에서 리스크가 아니란 말이 있다. 알면서도 손 놓고 있다가 태풍을 맞고 나서야 변명하는 것은 통하지 않는다.


IFRS17의 기준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문제가 뭐든 사실 정답은 이미 정해져 있다. 모든 보험사가 이미 알고 있지만 경영상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미루고 있는 답은 '자본확충과 리스크 관리'다.

보험사 CEO(최고경영자)들은 IFRS17이라는 '알려진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리스크 관리를 경영전략 1순위로 삼아야 한다. 금리가 변동할 때마다 부채와 자본이 금리를 따라 같이 춤을 추게 해서는 안 된다. 상품 하나를 만들 때도 영업을 위해 복잡하게 만들기보다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도록 단순화해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전사적으로 촘촘하게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 2021년까지 3년 남았지만 시험은 이미 시작됐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