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지위 높아져도 결혼은 '남고여저', 보험도 바뀐다

머니투데이 전혜영 기자 2016.11.06 13:11
글자크기

여성 경제력 상승에도 전통 '남고여저' 결혼관 변함없어…보험상품, 생명 중심서 배상 중심으로 바뀔 것

자료=보험연구원자료=보험연구원


여성의 경제력과 노동시장 참여율은 높아지는 반면 남성이 경제력을, 여성은 가사를 담당한다는 전통적인 결혼관은 깨지지 않고 있어 결혼시장의 불균형과 저출산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기존에 출생과 사망 등 생명을 기반으로 발달한 보험시장도 저출산과 맞물려 상품개발에 큰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6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여성의 교육수준과 노동시장 참여율이 높아지는 반면 여성이 자신과 비슷하거나 우월적인 사회적 지위를 가진 남자와 혼인하는 전통적인 결혼문화가 유지되면서 여성은 상위층일수록 남성은 하위층일수록 결혼하기 힘든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이미 한국여성의 초혼연령은 1995년 25.3세에서 2015년 29.9세로 상승했고 남성은 28.4세에서 32.6세로 상승했다. 30~34세의 비혼율은 2010년 38.5%로 1995년 대비 두 배 이상 높아졌고 35~39세의 미혼율은 1995년 4.6%에 불과했지만 2010년 19.1%로 증가했다.

교육 수준을 기준으로 남녀의 비혼율을 비교해보면 남성은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여성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비혼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5~39세 남성과 여성의 비혼율을 보면 남성은 고등학교 졸업(31.8%)이 가장 높은 반면 여성은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28.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정택·오승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여성의 교육수준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진 데 반해 결혼문화는 여전히 전통적인 남고여저(여성이 자신과 비슷하거나 우월적인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남성과 혼인하는 현상)가 유지되면서 여성은 상위층일수록 남성은 하위층일수록 결혼하기 힘든 구조로 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만혼·비혼 현상이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에 따른 결혼시장의 불균형에서 초래되는 측면이 크다면 기존의 출산 정책으로는 초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혼인 혹은 양육비용의 부담으로 결혼을 미루는 것이라면 고용과 주거 정책이 초저출산 극복에 효과적인 정책일 수 있지만 배우자를 찾지 못해 발생하는 비혼 문제에 대한 대응책은 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험연구원은 결혼시장의 불균형에서 기인하는 출산율 하락을 반영할 경우 중단기적 저출산 정책 수립의 기준이 되는 목표 출산율은 현재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정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그간 결혼과 출산을 전제로 한 태아보험, 상해보험, 종신보험 등을 중심으로 성장한 보험업계 상품 구조에도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앞으로 1인 가구와 렌탈 시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틈새 보험이 인기를 끌 것으로 내다봤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기존에 보험사들이 생명과 관련한 상품을 팔아 성장해 왔다면 앞으로 비혼과 저출산이 고착화되면 상품 구조도 바꿀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유럽 등 선진국처럼 다양한 일상의 사건·사고를 보장하는 배상책임보험과 전세보증보험처럼 일정 렌탈 기간 후의 하자를 보상하는 보험이 많아지는 추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