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진 스크린도어 수리공들은 왜 매번 혼자였나

머니투데이 이재윤 기자, 김민중 기자 2016.05.30 16:39
글자크기

외주업체 직원 "인력부족 탓 초짜투입"… 서울메트로 '자회사'안도 '반쪽짜리' 그칠듯

지난 28일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 유지보수업체 은성PSD 직원 김모씨(19)가 진입하던 열차와 승강장안전문 사이에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 사진 = 뉴시스지난 28일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 유지보수업체 은성PSD 직원 김모씨(19)가 진입하던 열차와 승강장안전문 사이에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 사진 = 뉴시스


지하철 스크린도어를 수리하던 직원이 작업 중 사망하는 사고가 4년 연속 발생했다. 이 중 3건이 '홀로' 작업하다 발생한 사건이다. '2인1조' 수칙이 지켜지지 않은 탓에 서울메트로와 스크린도어 외주업체들은 사고 당사자의 '개인과실'에 무게를 두지만, 직원들은 "인력난 탓에 혼자 작업하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2인1조는 사실상 지켜지기 어려운 수칙이라고 항변한다.



지난 28일 오후 5시50분쯤 서울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 수리 작업중 열차에 치여 사망한 은성PSD 직원 김모씨(19)는 입사한 지 7개월밖에 되지 않은 '초짜' 직원이었다. 업무 기초교육만 받아 전문성이 떨어짐에도 현장에 투입된 건 고질적 인력난 때문이다.

30일 만난 업계 관계자는 "은성PSD는 기술직원 113명이 1~4호선 97개역(스크린도어 7700여개)을 관리한다"며 "1~4호선의 스크린도어 고장이 잦다보니 식사는 거르기 일쑤고, 1인 작업도 사실상 비일비재하다"고 전했다.



황준식 은성PSD 노조위원장은 "최소 1년 정도는 일해야 (선로 안쪽 작업을)능숙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인원이 부족하다 보니 선로 안쪽에서 해야하는 대부분의 작업을 혼자서 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의 2배가 적정 인원"이라고 주장했다. 저비용 경영에 따른 '인력난'이 사실상 수리 직원들을 위험천만한 '1인' 작업에 내몰고 있다는 평가다

숨진 스크린도어 수리공들은 왜 매번 혼자였나
스크린도어 수리 직원의 사망사고는 4년 연속 발생했다. 지난해 8월 말에도 지하철 2호선 강남역에서 스크린도어를 수리하던 유진메트로컴 직원 조모씨(29·사고당시)가 사망했고, 2013년 1월 은성PSD 기술팀장 심모씨(37·사고당시)도 2호선 성수역에서 작업 도중 사망했다. 두 사람 모두 홀로 작업하다 사고를 당했다.

똑같은 죽음이 이어지고 있지만 작업자들에 대한 보상, 외주업체 또는 서울메트로에 대한 실효성있는 처벌은 전무하다. 심씨 사고 후 은성PSD는 업무상과실치사 혐의에 대해 '혐의없음' 처벌을 받았고, 과태료 30만원만 물었다. 2014년 4월 지하철 1호선 독산역에서 사망한 노모씨(26)도 보상은 받지 못했고, 업체(티에스텍)에 대한 처벌은 벌금 100만원에 그쳤다. 조씨 사고는 9개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경찰 조사조차 마무리되지 않았다.


서울메트로는 이번 구의역 사고도 '개인과실'에 무게를 두는 모양새다. 서울메트로는 사고 당일 브리핑에서 △김씨가 구의역에 구두보고를 했지만 △2인1조 규정을 지키지 않고 △다른 직원이 오기 전 무리하게 작업을 하다 화를 당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김씨 유가족들은 "얼마 전 서울메트로 관계자가 찾아왔지만, 개인과실로 몰고 가는 듯한 변명을 해서 돌려보냈다. 보상 얘기도 없었고, 다른 계획은 없다"고 반발했다.

한편 서울메트로는 오는 8월 스크린도어 유지·관리를 자회사로 통합·관리토록 해 안정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당초 올해로 예정된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의 통합 시기에 맞춰 자회사를 설립할 계획이었지만, 양사 노조의 반대로 통합이 무산됐음에도 자회사는 그대로 추진한다는 것.

그러나 이마저도 '반쪽짜리' 대안에 그칠 공산이 크다. 지하철 2호선 강남역을 비롯해 잠실·동대문역사문화공원, 1호선 시청·서울역, 3호선 교대·양재 등 유동인구가 많은 24곳은 유진메트로와 민자투자사업(BOT) 방식으로 2022년까지 계약돼 있다. 서울메트로가 이를 파기하지 않는 한 자회사 설립 후에도 관리는 맡겨야 한다. 서울메트로가 자회사 추진을 위해 편성한 예산도 15억원에 불과해 손해를 감수하면서 계약을 파기하긴 어렵다.

이에 대해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자회사 추진은 이번 사고와 별개로 원래 추진되던 방안이다. 현재 책정된 예산외에도 추가로 투입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