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두 가지 위협, 성장률 둔화와 자국기업 양성

머니투데이 이코노미스트실 2015.09.01 18:00
글자크기

[TOM칼럼]

/그래픽=김현정 디자이너/그래픽=김현정 디자이너


중국경제 성장률 둔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 부진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중국경제의 성장 속도가 한 단계 낮아지는 건 중국의 경제 규모가 절대적으로 커졌기 때문에 뒤따르는 당연한 현상이다.

과거 중국은 낮은 인건비를 경쟁력으로 세계 경제의 공장 역할을 했다. 이 시기에 미국과 유럽의 경기호조로 글로벌 총수요는 풍부했다. 당시 상대적으로 경제 규모가 작았던 중국이 대형 시장인 선진국 수요를 흡수하면서 고성장을 누렸다. 2007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를 시작으로 2009년까지 이어진 금융위기로 선진국들의 수요가 줄어 들었던 기간에도 중국은 적극적인 설비투자와 부동산 개발을 통해 높은 성장을 유지했고 그 결과 중국의 GDP는 2009년 글로벌 2위로 올라설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처럼 절대적으로 경제규모가 커진 이상 중국이 수출을 통해 과거와 같은 고성장을 누리기 위해서는 중국보다 더 크게 수요가 증가하는 시장이 있어야 한다. 최근 선진국 수요 개선이 감지되고 있지만,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총수요가 과거 대비 현저히 증가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중국이 수출을 통해 과거의 고성장을 다시 추구하기는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중국은 자국 내 소비를 확대해 경제성장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소비 확대를 위해 중국은 노동자들의 임금을 적극적으로 인상했다. 실제로 중국의 최저 임금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2배 상승했고 소비 역시 빠르게 증가했다. 그럼에도 경제 성장률 둔화가 예상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수출 부진뿐만 아니라 금융위기 이후 단행한 적극적인 설비투자에 따른 공급과잉 해소가 예상보다 장기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성장률 둔화를 방어하기 위해 추가적인 경기부양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지만, 정책의 강도 및 효과에 대해선 미지수다. 세계 경제는 이미 적극적인 유동성 공급을 통한 내수 부양이 극단적인 버블을 가져올 수 있음을 일본을 통해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은 단순히 유동성 공급과 같은 정책보다는 실물 경기를 회복시킬 수 있는 정책들을 제시하며 낮아진 성장률에 적응하는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둔화될 경우, 자국 기업을 양성하려는 움직임이 확대될 것이라는 점이다. 중국 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의 약진 소식은 새로운 내용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 그 품목이 확대되고 있다. 기술차를 극복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 예견했던 자동차 부문에서마저 최근 중국 내수 기업의 약진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중국이 각 부문에서 자국 기업의 성장을 지원할 경우 외국 기업들의 점유율 하락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중국을 성장 동력으로 바라보는 국내 기업들은 현지 기업으로부터의 위협이 예상보다 빠르고 강력하게 다가올 수 있음을 깨닫고 지금부터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나아가 중국이 아닌 다른 시장을 찾아보는 것도 현명한 성장 전략이 될 수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