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리베이트 강공, 바짝 엎드린 제약업계...영업 꽁꽁

머니투데이 김명룡 기자 2011.05.03 15:47
글자크기

범정부합동조사단·공정위·국세청 등…정부 리베이트 근절나서

제약영업 현장이 그야말로 꽁꽁 얼어붙었다. 정부가 전방위 리베이트 단속에 나선 탓이다.

제약사 불법 리베이트 영업에 대한 단속은 항상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 강도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하다는 것을 영업사원들도 실감하고 있는 중이다.

3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국세청은 지난달 매출 상위권 A제약사와 20위권 B사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



국세청은 지난해 리베이트 경비를 판매촉진비·복리후생비 등에 분산 회계처리한 제약사들을 적발하고 총 838억원의 세금을 추징한 바 있다.

공정위 서울사무소는 지난달 26일 A제약사에 직원들을 보내 불법 리베이트와 관련된 조사를 벌였다. 공정위 서울사무소는 지난 3월에도 D약품, J제약과 L사에 대한 불법 리베이트와 관련한 조사를 벌인 바 있다.



이밖에 지난달 5일 보건복지부, 검찰, 경찰, 공정거래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청 등 정부와 사정당국이 범정부적인 공조체제를 갖추고 '의약품 리베이트 전담수사반'을 설치하고 본격 가동 중이다.

최근 제약사의 리베이트 관행에 대한 정부의 조사가 전방위로 진행되는 상황이라 업계는 긴장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특히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리베이트 쌍벌제(준 사람과 받은 사람을 동시에 처벌하는 제도) 여파로 제약사의 영업대상인 의사들이 움츠러들었다.

지난달 목표를 채우지 못한 영업사원들이 대다수라는 전언이다. 국내 제약사 한 영업담당 사원은 "기존 거래처 의사들도 만나기를 꺼려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새로 거래처를 뚫는 것은 생각하기도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일부 제약사는 리베이트 조사가 잠잠해 질 때까지 주요 거래처만을 관리하라는 지시까지 내리기도 했다. 이 관계자는 "우량 거래처(병·의원)를 제외하고 매출이 나오지 않는 거래처에 대한 영업활동을 잠정적으로 중단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울산지방경찰청이 리베이트 연루 1000여명의 의사명단을 확보하고 수사에 나섰고, 이 지역 제약영업은 그야말로 '올스톱'된 것으로 알려졌다.



내부직원 단속에도 비상이 걸렸다. 공정위 서울사무소에서 진행하는 조사는 대부분 리베이트 제공에 대한 신고나 제보로 이뤄지는데 최근 제약사에 대한 공정위 조사는 주로 서울사무소에서 진행했다.

제약회사 영업담당 임원은 "내부고발의 경우 회사의 영업방식을 정확하게 알고 있고 관련 증거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며 "영업사원 단속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라고 말했다.

영업사원에 대한 윤리교육도 강화하고 있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리베이트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회사의 방침과 달리 불법적인 영업을 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 직원들에 대한 윤리교육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영업사원들에게 서약서를 받는 제약사들도 많이 늘었다. 정부 조사가 진행될 경우 영업사원에게 모든 책임을 돌리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평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