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당금 연체율 G3리스크,3각파도 헤쳐나갈 비책?

머니투데이 김익태 기자, 오상헌 기자 2010.07.02 07:03
글자크기

구조조정에 울고, 연체율 증가에 또 울고, G3리스크에 넋잃고...

은행권이 국내외에서 몰아치는 3각 파도에 몸살을 앓고 있다. 건설사 구조조정과 연체율 상승, G3 리스크 증가에 따른 환율 상승 등. 어느 것 하나 만만치 않은 내우외환으로 이익이 급감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우선 강도 높은 건설사 구조조정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부담이 만만치 않다. 수익 악화가 불 보듯 뻔하다. 연체율 관리도 고민거리다. G3 (미국·중국·유럽) 리스크도 불안감을 키우는 외적 요소다. 올 하반기 영업전략 짜기가 쉽지 않은 이유다. 손실 최소화를 넘어 차별화된 전략을 마련하느라 은행권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충당금 연체율 G3리스크,3각파도 헤쳐나갈 비책?


◇충당금에 순익 '줄고'= 건설사 구조조정 후폭풍은 단연 대손충당금 부담이다. 돈 벌어봤자 충당금 쌓으면 이익 규모가 반감된다. 1분기는 예대마진으로 그럭저럭 선전했지만, 2분기 순익 급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문제는 건설경기다. 회복될 기미가 좀 채 안 보인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하반기에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할 판이다.

7월부터는 중소기업 옥석가리기도 본격화된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내놓았던 긴급처방 효력도 사라진다. 출구전략의 일환이다. 구조조정의 칼을 들이대면 충당금 부담이 더욱 가중된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이번 건설사 구조조정 충당금으로 6000억~7000억 원을 쌓아야 할 것 같다"며 "2분기 실적도 그저 그렇겠지만 하반기 가장 큰 문제는 충당금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체율 관리도 '비상'=연체율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다. 충당금 못지않은 고민거리다. 은행권 연체율은 작년 말 1% 정도에서 적정하게 관리됐다. 당국의 압박이 작용한 탓이다.

하지만 올 들어 상승일로다. 5월 말 기준 국내은행 연체율은 1.2%로 작년 8월 이후 최고치다. 특히 중소기업 연체율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지난해 말 0.74%보다 0.46%포인트나 높아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경기 회복이 지연돼 제 때 이자를 못 갚는 기업이 계속 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일부 부실을 도려냈지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이 수면 아래서 언제 튀어나올지 모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연체율 상승의 주범은 기업 구조조정과 부동산 PF 부실"이라고 지적했을 정도다.

최근 꿈틀대는 주택담보대출도 맘을 놓을 수 없다. 하반기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중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 모두 연체율 관리의 걸림돌이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이와 관련 "점포가 아닌 개인별 연체율 관리 방안을 검토해볼만하다"고 했다. 경쟁은행을 예로 들면서다.



통상 연체율 관리 평가는 점포별로 이뤄진다. 그런데 경쟁은행은 개인별로 평가한다는 것. 직원들이 연체율 관리에 힘을 쏟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기업들이 연체를 갚아야 할 곳 1순위로 단연 이 은행을 꼽는 이유가 되고 있다.

◇G3 리스크 장기화 '우려'= 밖을 봐도 팍팍하기는 매한가지다. 당장 유럽이 심각한 재정위기를 겪고 있다. 국가 신용경색과 장기 경기침체 얘기가 나온다. 미국은 주택시장 침체 우려에 소비 심리마저 얼어붙었다. 중국의 경기둔화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른바 'G3 리스크'다.

단기적 영향은 미미하지만 걱정은 여전하다. 유럽 위기가 장기화되면 또 유동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 달 6억5000만 달러 외화 자금을 조달했다. 이런 점을 감안한 선제적 조치다. 다른 은행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한 시중은행 자금담당 부장은 "전 세계 경기가 빠른 시간 내 회복세로 돌아설 것 같지 않아 여러 은행들이 채권 발행을 추진하거나 외화 자금 조달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하반기 영업 전략의 방점이 '공격'이 아닌 '수비'에 찍힌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은행권 재편을 고려한 공격적 영업 확대도 거론되지만, 상황이 녹록치 않다.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처지다. '기초체력'을 키우는 전략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하반기 국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많아 내실 위주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데 최우선 목표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관계자 역시 "하반기 고객 저변을 확대하는 한편 자산의 질을 높이는 클린화에 중심을 두고 영업 활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한은행도 조만간 경영전략회의를 열어 '내실 경영'에 초점을 둔 전략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