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끝나지 않은 건설사 구조조정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2010.07.01 09:06
글자크기
[기자수첩]끝나지 않은 건설사 구조조정


"부동산경기가 살아나기 전까지는 살얼음판입니다. 문제는 부동산경기가 쉽사리 살아날 것 같지 않다는 겁니다. 올해가 고비라는 얘기죠."

지난 6월 25일 발표된 건설사 신용위험평가에서 간신히 B등급으로 살아남은 한 중견건설사 임원이 털어놓은 푸념이다. 장기간동안 부동산시장이 침체돼 주택사업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로는 전혀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하소연이다.



실제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지난 2007년 분양가상한제 시행과 지난해 보금자리주택 공급을 앞두고 밀어내기 분양에 나섰다가 미분양아파트만 양산, 유동성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공사를 진행하는 만큼 중도금과 잔금이 들어와야 하는데 미분양아파트가 많다보니 자금 회수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신규사업을 추진하려해도 보금자리주택 공급 이후 대기수요가 늘어나면서 분양시장이 악화되고 있어 올해 기업 외형은 축소가 불가피하다. 특히 금융권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축소는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



간신히 신규 PF대출을 받더라도 10%를 넘는 금리는 기본인데다 사업이 장기간 지연됨에 따라 기존 PF대출을 리파이낸싱할 경우 더 많은 이자를 내야 한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국제회계기준(IFRS) 때문에 우발채무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PF대출을 성사시키기는 더더욱 어려울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룹계열 건설사와 토목·건축·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포트폴리오를 갖춘 건설사를 제외한 주택사업 비중이 높은 중견건설사에게는 악재의 연속이다. 실제 지난해 B등급을 받았지만 이같은 악재로 신창건설, 현진, 성원건설, 남양건설, 금광기업 등은 줄줄이 부도사태를 맞았다.

예측 가능한 시나리오였음에도 B등급 건설사들의 잇따른 부도는 형식적이고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신용위험평가가 빚어낸 참사였다. 혹독한 구조조정을 거쳐야 하지만 채권은행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C등급이 차라리 낫다는 푸념이 나오는 이유다.


신용위험평가가 제대로 이뤄졌다면 부도에 따른 후폭풍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번 3차 건설사 구조조정을 바라보는 시장의 반응은 '아직 미흡하다'로 모아지고 있다. 구조조정 횟수가 많아지면 시장은 혼란스러워진다. 차라리 제대로 된 한 번의 구조조정이 시장 불안을 잠재울 수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