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 은행에 20조 쏠린, PF대출…부실 문제 없나?

머니투데이 도병욱 기자 2010.06.28 08:18
글자크기
은행권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은행권 PF 대출 규모가 워낙 큰 데다, 특히 은행권 PF 중 절반 가량이 국민ㆍ우리은행 등 2개 은행에 쏠려 있어 PF 부실이 은행권으로 번질 경우 파장이 상당히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은행권의 PF 대출 잔액 규모는 총 50조9000억 원에 달했다. 이는 저축은행(11조 8000억원), 보험(5조 7000억원), 증권(2조 7000억원) 업계보다 눈에 띄게 큰 규모다.



이 중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40%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1분기 말 기준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의 PF 대출 잔액 규모는 각각 9조2000억 원, 9조6000억 원이다. 이는 각 은행의 총 자산 대비 4%에 달하는 규모다.

국민은행 다음으로 은행권에서 PF 대출 규모가 큰 곳은 농협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신한은행은 6조7000억원, 하나은행은 2조9000억원 수준의 PF 대출 잔액을 보유하고 있다.



2개 은행에 20조 쏠린, PF대출…부실 문제 없나?


은행들은 PF 대출 연체율이 낮아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말 기준 은행 PF 대출 연체율은 1.67%로 저축은행(10.6%)에 비해 크게 낮았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 사정이 달라질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권 PF 규모가 워낙 크고 일부 은행에 대출이 쏠려 있어 PF 대출 부실에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며 "부동산 경기 추가 악화 가능성이 큰 만큼 사전에 위험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우리은행에서는 2007년과 2008년 계약한 PF 대출이 부실 판정을 받아 지난해 금감원의 검사를 받은 적도 있다. 이달 초에는 경남은행에서 PF 대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근원적으로는 건설경기가 좋을 때 제대로 된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PF 대출을 승인한 은행의 잘못이 부른 과업"이라며 "확실한 대책이 아니고서야 이 문제를 해결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지난 25일 부실 우려가 있는 3조 8000억원 규모의 저축은행 PF 대출을 구조조정기금 등을 통해 매입키로 결정했다.



PF 대출이란 금융회사들이 부동산 개발 등 특정한 사업을 담보로 개발업체에 자금을 빌려주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적으로 담보가 부족하거나 사업주의 신용도가 낮아도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2004~2007년 부동산 시장이 커질 때 인기를 끌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