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판다고? 어떻게? 동상이몽 삼국지!

머니투데이 오상헌 기자 2010.06.09 16:45
글자크기

정부 매수자 우리금융 등 당사자 입맛대로 희망

벌써 몇 달째 '소문'만 무성하다. 어떤 방식으로 '딜'(Deal)이 진행될지조차 현재로선 오리무중이다. 그러다 보니 파는 쪽도 사려는 쪽도 생각이 모두 다르다. 한마디로 '동상이몽'이다. 공적자금 투입 금융기관인 우리금융 (11,900원 0.0%)지주 민영화 얘기다.

◇모든 가능성= 우리금융 민영화 로드맵이 이달 안에 확정된다. 정부는 조만간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열어 보유 지분 56.97%에 대한 매각 계획을 발표한다.



하지만 매각 절차 외에 구체적인 방식은 발표되지 않을 전망이다. 정부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와 '금융산업 발전', '조기 민영화' 등을 동시에 충족시킬 만한 현답(賢答)을 찾기 쉽지 않아서다.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정부 관계자의 말에서 이 같은 고충이 감지된다.

정부는 인수 후보들로부터 각자 원하는 인수 방식을 담은 제안서를 제출받게 된다. 이후 각 인수 후보의 입찰제안서를 검토, 적절한 인수 주체를 결정한다. '시장의 선택'에 따라 민영화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우리금융 판다고? 어떻게? 동상이몽 삼국지!


정부가 염두에 두고 있는 매각 방식은 크게 세 가지다. 지배 지분과 경영권을 통으로 매각하는 방안이 우선 꼽힌다. 다른 금융지주회사와 합병하는 방안과 지분을 잘게 쪼개 파는 방식도 거론된다. 국민연금 등 연기금이 일정 지분을 분산 보유하는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그러나 어느 쪽도 수월치 않은 게 문제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 10조원 넘는 돈을 들여 지배 지분을 살 만한 곳이 사실상 없다. 그래서 나온 게 금융지주 간 합병 방안이다. 그런데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가 최우선인 정부는 고개를 갸우뚱한다. 합병 후 시장 상황과 기업 가치를 예단하기 어려워서다. 주가가 오르리라는 보장이 없다.

정부 보유 지분을 잘게 나눠 파는 것도 가능하다. 소수 지분 블록세일(시간외 대량매매)처럼 5~9%씩 쪼개 여러 투자자들에게 분산 매각하는 것이다. 당연히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기해야 한다. 시가보다 비싸게 살 이유가 없다. 거둬들일 공적자금이 그만큼 준다. 정부 입장에서는 생각하고 싶지 않은 방안이다.


◇동상이몽=사정이 이렇다 보니 관련 주체들 모두 같은 판에서 다른 꿈을 꾸고 있다. 정부관계자는 "우리금융 민영화의 최대 목표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로 핵심 정책목표에 맞는 묘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가 유력한 인수 후보로 거론되는 KB금융 차기 회장 선임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기도 하다. 우리금융 인수에 관심 많은 회장이 선임되면 금상첨화다. KB금융이 입찰에 참여하면 '흥행' 가능성이 높아진다. 대우인터내셔널 (56,100원 ▲1,200 +2.19%) 매각 전례에서 잘 드러났다. 경남·광주은행을 분리 매각 방안을 검토하는 것도 정부 고민의 결과물이다. 몸집을 최대한 줄여 인수자의 부담을 줄여 주자는 차원이다.



KB금융 (83,600원 ▲1,100 +1.33%)과 하나금융 등 사려는 쪽도 인수전 승리를 위한 묘수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KB금융은 새 회장 선임이 완료되면 인수전에 본격 뛰어들 태세다. '합병' 방식을 원하는 하나금융도 경쟁 입찰에 대비한 전략 세우기에 들어갔다. 속내는 KB금융의 입찰 참여를 바라지 않고 있다.

우리금융도 속마음이 복잡하다. 조기 민영화가 핵심 과제인데, 지배구조가 바뀌고 경영권을 넘겨야 한다는 게 부담스럽다. 여러 투자자들에게 지분을 쪼개 파는 '분산 매각'을 선호하는 이유다.

일각에선 우리금융 민영화가 또 물 건너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는다. 금융권 관계자는 "복잡한 매각 방정식 외에 정치적 변수가 우리금융 민영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여권이 6.2 지방선거에서 패한 상황에서 은행권의 대형 인수합병(M&A)을 생각한 대로 끌고 갈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금융 차트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