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개발 때문에..." 해안이 사라졌다

머니투데이 황국상 기자 2009.08.28 06:00
글자크기

100년전에 비해 해안선 1400㎞감소.. "난개발·골재채취 등 영향"

지난 100년간 서해안 길이가 140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골재채취와 도로건설 등 경관을 고려치 않은 개발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7일 '해안지역의 자연경관 특성 및 보전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표하며 "드나듦이 심하고 해안선의 길이가 긴 서해안 경관이 1910년대에 비해 굴곡이 줄었고 길이도 40% 단축됐다"며 "고유의 특징을 잃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1910년 3596㎞이던 서해안 해안선의 길이는 2008년을 기준으로 2148㎞로 1448㎞나 줄었다. 굴곡의 정도도 45% 정도 감소했다. 그만큼 서해안이 직선화됐다는 뜻이다.

해안선에서 10㎞ 이내 공간이 산림·초지 등 자연상태로 유지된 것은 20% 정도였다. 50% 이상 면적은 경작지, 주거지, 산업단지로 활용되고 있었다.



1910~2008년 기간 동안 서해안 간척 등 사업을 통해 새로 생긴 땅은 900㎢에 이르렀다. 서울특별시 전체 면적(605㎢)의 1.5배에 이른다.

과학원은 "간석지나 염습지의 면적이 크게 줄어들고 산림과 초지의 비율이 낮아지고 있다"며 "반면 농경지와 주거지, 산업단지 등 개발면적이 지나치게 높다"고 지적했다.

또 "이런 변화의 원인은 간척사업을 비롯한 항만건설, 도로건설, 방조제건설 등 다양하지만 대부분 인위적인 변화라는 데 주목해야 한다"며 "자연적 변화는 적응하기 쉽지만 인위적 간섭은 그 영향이 나중에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과학원은 "2004년 12월 발생한 지진해일은 30만명의 희생을 초래했는데 맹그로브 습지나 해안사구 등 자연방어물이 있던 지역의 피해는 개발된 지역에 비해 적었다고 한다"며 "해안개발의 여파가 지진해일 피해를 더 키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안에서 1㎞ 구간은 완충영역으로 둬서 인위적 간섭을 최소화하고 염생식물과 해안림은 해안사구와 더불어 육상을 보호하는 자연적인 방어물이므로 적극 보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