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메트로 "노조파업, 강력 대응하겠다"

머니투데이 정진우 기자 2008.09.23 11:57
글자크기

"노조원들 대체수당 받으려 고의로 병가… 도덕적 해이 심각"

서울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의 노조가 오는 26일 파업을 예고한 것에 대해 서울메트로 사측과 서울시가 강경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23일 서울메트로 노조의 파업 결의와 관련, 기자설명회를 열고 "서울시 5개 공기업은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실질적으로 개혁에 성공하지 못했다"며 "시민의 협조 속에 목표대로 공기업 개혁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메트로 사측도 이날 "이번만큼은 시민의 발을 볼모로 하는 노조의 파업 전술이 먹혀들지 않도록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메트로 노조가 인력감축과 아웃소싱 등 구조조정에 반발하고 있는 것과 관련, 비효율적인 경영과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노조 측 주장을 일축했다.



시 관계자는 "노조를 이끄는 승무 분야 근무자의 최근 5년간(2003∼2007년) 연평균 병가 일수는 16.6일로 본사 직원들의 병가 일수(2일)와 큰 차이가 난다"며 "이는 승무분야 직원들이 대체 근무수당을 받기 위해 돌아가면서 병가를 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시는 지난해 병가에 따른 대체 근무수당으로 148억원을 지급했고, 지난 한 해 동안 월 100만원 이상의 대체근무수당을 수령한 사람도 승무 분야에서 3명 나왔다고 설명했다. 또 서울메트로의 지하철 1㎞당 인력은 76.2명으로 내년 상반기에 개통되는 지하철 9호선의 3.7배가 넘는 문제가 있는 등 서울메트로 조직의 개편 필요성을 역설했다.

시는 특히 서울메트로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건설 부채를 제외하고 운영 부채만 2조1690억원에 달하고, 지난해 국토해양부의 고객만족도 조사에선 전국 지하철 운영기관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고 강조했다.


권영규 서울시 경영기획실장은 "설립 이래 적자를 면치 못한 서울메트로를 인력감축, 예산절감, 사업 다각화를 통해 오는 2011년부터 흑자기관으로 바꿀 것"이라며 "잦은 파업으로 정상적인 경영 활동을 어렵게 하는 노조에 앞으로 강경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