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건설업체 분양률 '뻥튀기' 내막은

머니투데이 반준환 기자 2007.09.16 15:48
글자크기

[명동풍향계] 집단해약 위협에 전전긍긍

외환위기 이후 활발하게 주택사업을 벌여 온 중견 건설업체 A사가 최근 부도위기를 어렵게 넘겼다. 돌아온 어음을 막지 않을 경우 1차부도 처리될 수 있는 상황에서 막판에 간신히 위기를 벗어났다. A사는 업계도 의아할 정도의 '고가' 분양전략이 성공을 거듭하며 외형은 물론 브랜드 인지도를 상당히 높혀왔다.

◇중소건설 줄도산 대기= A사는 수도권은 물론, 전국 각지에 수많은 아파트 건설현장을 갖고 있다. 때문에 명동에서는 A사가 무너질 경우 그 파장이 간단치 않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최근 경영난으로 업계에 '줄도산 공포'를 전달한 B, C, D사와는 무게가 다르다는 것이다.



이미 한 차례 부도를 맞아 주인이 바뀐 지방의 E건설도 최근 사그라들긴 했지만 도산 루머에 시달렸다. 성과가 없는 해외사업을 추진한 F건설과 그룹사로 큰 지방의 G건설도 연내 부도설이 나돌고 있다. 이런 상황만 보면 주택 건설업계의 부도공포를 단순히 경고성으로 해석하면 안된다는 것이 명동의 시각이다.

이런 위기는 여러 요인에서 비롯됐지만 궁극적으로 분양시장 침체가 주된 원인이다. 가까스로 청약자 수가 공급가구수를 넘었어도 계약으로 이어지지 않은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입주를 목전에 뒀거나 이미 입주를 시작한 단지에도 '웃돈'이 없으면 집단해약이 들어오는 등 건설사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업체들은 무더기 해약에 적극 대응하고 싶지만 자칫 소문이 날 경우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속만 태우고 있다는 후문이다. 분양률의 '뻥튀기' 발표도 노골적일 만큼 한계 상황에 이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정책에 대한 원성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명동시장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포퓰리즘 정책에 안주해 현재의 사태를 너무 낙관하고 있다"며 "지금까지 작은 둑이 터졌다면 앞으론 댐이 붕괴하는 사고를 경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PF 위기론 "과장" = 이처럼 중소 건설업체들의 위기론이 확산되면서 금융회사들의 손실 가능성도 속속 제기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주택단지 조성과 관련한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이 위험 지대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금융계는 터무니없이 과장됐다고 반박하고 있다. 통상 PF는 담보없이 공동투자한 후 수익을 나누는 형태지만, 국내 금융기관들은 대부분 담보를 잡고 대출한다. 곧 건설회사가 부도를 낼 경우 담보로 잡은 토지 등을 다른 건설사에 넘겨 자금을 회수할 수 있어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실 PF가 문제된다면 담보를 끌어안은 금융기관이 유동성 부족으로 장기간 버티지 못하는 경우에 한한다"며 "시중은행이나 제2금융권은 현재 보유자금이 넉넉해 PF에 대한 우려는 지나치다"고 주장했다.



중소 건설업체 분양률 '뻥튀기' 내막은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